— English
In the West, the classical philosophers, post-Christianity, thought of morality as a core part of virtue in reflection of the belief of imago dei. However, in the East Asia, the morality is now more often seen as a part of statecraft, a code only intended to make people more obedient to their rulers. This Machiavellian juxtaposition of Confucian ideals has been tacitly accepted by the populace, and I think that i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social changes have been so swift. Without a full appreciation for Confucianism as a theory, ignorant progressives have done much to throw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Social changes are often hinged by a philosophical, and referential, position that society holds to, and the fact that Asian countries seem to have been following the West, almost mindlessly, without due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moral implications (but accommodating to Western influences under the banner of progres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raditional views have been heavily labeled as being backward and generally antithetical to any progress in all aspects of life. This was sparked by Meiji Reformation in Japan, which happened among a people-group living in an island long oppressed by self-doubt about its own identity and self-worth, always compared against the continental culture.
As seen in Korea, it doesn’t help that most of classical literature were written in hanja and the disciplines of philosophy or classical literature is simply marginalized as being “non-productive” discipline. This kind of trend is deeply troubling, given the fact that young people are increasingly adopting materialistic view of life, whilst studying hard in philosophical disciplines, which was a harsh experience for them when they had to memorize in a rote fashion to pass a test. Knowledge without seeing no relevance to their lives has led to resentment towards the very knowledge that can allow them genuine change and progress towards the future.
— 한글
기독교 이후의 서양의 고전 철학자들은 도덕을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으로 만들어진 인간의 중요한 미덕으로 생각왔어으나 동양에서는 도덕이 치국책의 용도로 사람들을 더 고분고분하게 만드는 하나의 규범으로만 간주되어가고 있다. 이런 식의 마키아벨리 풍으로 유교적 이념이 암묵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고, 이로 인해 사회적 변화가 상당히 빨리 일어난 것 같다. 유교를 하나의 이론으로 평가하는 것 보다 무지의 진보주의자들은 아기를 아기 씻는 물과 함께 버린을 일을 주도해왔다. 사회적 변화는 사회가 지니고있는 철학적, 참고적 위치를 반영해 일어나게 된다. 아시아 많은 국가들이 자신의 전통적 관점의 도적적 결과에 대해 심사숙고하지 않은 것을 보면 (발전이란 이름아래 서양의 모든것을 수용하며) 얼마나 전통적 관점이 뒤떨어지며 일반적으로 모든 삶의 면에서 발전과 상반된다는 인식이 팽배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본의 메이지유진이 점화시킨 것이다. 오랫동안 자기회의와 대륙풍의와 대조되는 자신들의 열등감에 억업받았던 자들속에서 일어난 것이었다.
한국에서 볼 수 있듯이 한자나 고전문학이나 철학 같은 것을 공부하는 것은 비생산적인 일이다라 하여 단순하게 하찮은 분야로 인식되어 버렸다. 젊은 사람들이 점점 더 물질주의적 관점의 삶을 반영할때 이러한 추세는 매우 심각한 추세이지 않을 수 없다. 철학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철학이란 단순히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외워두는 지식이었지 도구이었을 뿐이었다. 삶과 아무런 연결이 없이 습득되는 지식은 미래를 위한 진정한 변화와 발전을 줄 수 있는 지식에 대해 분노만 일어나게 하는 것이 되어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