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가는 아브라함의 종이 친척의 사람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리브가에게 간 아브라함의 종의 이름은 직접적으로는 나와 있지는 않지만 창 15:2에서 아브라함이 상속자로 자신의 종의 이름을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라고 언급을 하는 것을 보면은 24장에 나오는 종이 엘리에셀일 확율이 높다. 아브라함의 집안의 사람들은 동쪽 끝 지방에서 파생된 사람들이고 다메섹은 서쪽지방의 사람이라 생김세도 다를 수 있겠다. 아무튼, 리브가는 피부색이나 인종이나 국적을 따지지 않고 처음 보는 낯선 사람에게 친절을 배푼다. 그것이 아브라함의 종의 기도의 응답이었다. 아브라함의 종은 타인을 위해 배려와 친절을 배푸는 인격이 갖춰진 여자가 이삭의 아내가 될만한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샘이다.
마태복음 8장의 백부장도 자신의 하인을 위해 구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히 과거 노예제도 하에 있던 노예들이 무조건적으로 무슨 동물 처럼 학대만 받고 살아갔던 것 처럼 흑백논리로 세뇌받고 있는 현대이지만, 대부분의 노예들은 노예가 아닌 평민들보다는 더 나은 삶을 살았다고 봐야 하는 것이 치우치지 않은 정상적인 관점이다. (성서적 질서보다는 평등주의를 더 중요시하는 수정주의자들은 이 흑백논리를 이용해 주인/종 관계를 무슨 윤리적인 악으로 풀이하며 구약을 이상하게 해석하는데 사용한다.) 아무튼, 이 백부장도 인격이 갖춰진 주인으로서 자신의 하인의 문제에대해 주님께 고하는 것을 본다. 하인을 자신의 하찮은 소유물로만 보지 않고 하나의 인간으로서 인정을 베푸는 모습이다.
친절은 배푸는대로 돌아오게 되있다. 타인에게 친절하면 그 친절은 다시 자신에게 돌아오게 되있다. 아무리 작은 사람이라도, 하인같은 사람이라 할찌라도 인격을 갖춰 대하면 그것이 후에 자신에게 돌아오게 되있다. 그러나, 타인을 비인간적으로, 하나의 소유물 처럼 대하면 꼭 그것은 자신에게 돌아오게 되어있다. 사람이기 때문에 작은 기본도 중요시 여겨야 한다. 익숙하고 친밀해질수록 더욱 禮를 갖춰 대하는 것이 理이다. 인격이 덜 된 사람일수록 처음보는 사람에게만 친절하고 익숙해지면 無禮로 대하게된다. 아무리 작은 인간이라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소중한 인간이다. 아무리 가치관이 꺼꾸로된 세상이라 해도 가까운 관계일수록 더 소중히 여기고 禮를 지킬 줄 알아야한다.
Ref: 창 24, 마 8: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