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언 28:1-18

1악인은 쫓아오는 자가 없어도 도망하나 의인은 사자 같이 담대하니라
儒敎에서도 같은 가르침이 보인다. 道에 가까운 사람은 세상에서 두려워 할 것이 없지만 하나님의 법을 멀리한 사람은 모든 것이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

2나라는 죄가 있으면 주관자가 많아져도 명철과 지식 있는 사람으로 말미암아 장구하게 되느니라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이 있다. 영어엔 이런 표현이 있다: too many cooks in the kitchen spoil the broth. 여기 잠언서에서는 왜 사공이 많아졌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그 장소에 죄가 있어서라고 풀이해 주고 있다. 사실 나라라는 어떤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여기서 말하는 나라는 나라의 우두머리가 되는 왕이나 지도자를 생각해도 괜찮을 것 같다. 조선 태종의 방탕함이 그 첫째 아들에게 영향을 주어 폐세자가 되게 하고 잠시나마라도 나라를 혼란 스럽게 한것을 볼 수 있으며 다윗의 죄로 인해 나라가 나중에 갈라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도자의 죄로 인해 명철과 지식과 절차가 분명한 나라가 될 수 없다란 말도 된다. 즉 지도자로서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깨닳고 그 삶에 그것이 반영이 되어야 그 가 다스리는 나라또한 그 것을 반영할 수 있다. 전의 구절 1절에 말씀과 같이 지도자가 죄를 짓고 있는데 담대한 마음으로 타인, 즉 백성에게 의를 따르게 할 수 있는 입장이 될 수 없다.

3가난한 자를 학대하는 가난한 자는 곡식을 남기지 아니하는 폭우 같으니라

4율법을 버린 자는 악인을 칭찬하나 율법을 지키는 자는 악인을 대적하느니라
모든 것을 용납하고 포용하는 것이 마치 절대적이 되가고 있는 세상. 죄까지 포옹하는 관용은 절대적 악이다. 하나님의 말씀의 기준을 가진 이런 절대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눈치보며 사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흔히 교회에서 말하는 Love the sinner but hate the sin 까지 상반되는 잠언의 말이다. 죄를 회개치 아니하는 사람은 당연히 대적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상하게 교회들은 사람을 받아드리며 회개로 인도하기는 커녕 하나님의 말씀 앞에 눈가리고 아옹하며 죄까지 받아드린다. 이 선을 넘기면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곳에 닫게 된다.

5악인은 정의를 깨닫지 못하나 여호와를 찾는 자는 모든 것을 깨닫느니라

6가난하여도 성실하게 행하는 자는 부유하면서 굽게 행하는 자보다 나으니라

7율법을 지키는 자는 지혜로운 아들이요 음식을 탐하는 자와 사귀는 자는 아비를 욕되게 하는 자니라

8중한 변리로 자기 재산을 늘리는 것은 가난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자를 위해 그 재산을 저축하는 것이니라
하나님의 이치이다. 눈에 보이는 것 때문에 답답해 할 필요없다. 하나님의 때란 것이 있다.

9사람이 귀를 돌려 율법을 듣지 아니하면 그의 기도도 가증하니라
기도가 가증 스러울 수 밖에 없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도 순종도 하지 않으면서 계속해서 달라고만 고함치는 것이다.

10정직한 자를 악한 길로 유인하는 자는 스스로 자기 함정에 빠져도 성실한 자는 복을 받느니라

11부자는 자기를 지혜롭게 여기나 가난해도 명철한 자는 자기를 살펴 아느니라
실사구시로 스스로를 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은 눈이 밝은 사람만 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즉 사물을 바로 볼 수 있다란 것이다. 어떤 거품 속에서 사람은 그런 능력을 쉽게 상실한다. 마음이 자신의 욕구로 가득차서 스스로 조차 바로 볼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것이다. 그것이 타인의 아부가 될 수 있고 가지고 있는 물질또는 명예또는 능력이 될 수 있다. 지 아무리 잘나도 나는 놈위에 더 높이 나는 놈이 있고 그 위엔 하나님이 계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모든 이에게 주신 것들 뿐이다. 주신이가 가져가신다.

12의인이 득의하면 큰 영화가 있고 악인이 일어나면 사람이 숨느니라

13자기의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하지 못하나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

14항상 경외하는 자는 복되거니와 마음을 완악하게 하는 자는 재앙에 빠지리라

15가난한 백성을 압제하는 악한 관원은 부르짖는 사자와 주린 곰 같으니라
苛政猛於虎와 같은 말씀이다

16무지한 치리자는 포학을 크게 행하거니와 탐욕을 미워하는 자는 장수하리라
탐욕이란 조금식 달래 줄수록 더욱 커져가는데 그것의 맛을 보는 사람은 그것이 얼마나 커지고 있는 것을 감지 못해서 끝에서는 그것으로 빠른 죽음을 맞이한다. 달고 맛있는 음식만을 입에 달고 사람은 빨리 죽는다. 음식을 탐하는 것이나 색을 탐하는 것이나 물질을 탐하는 것이나 능력을 탐하는 것이다 결과에 있어서는 별반 다를 것이없다.

17사람의 피를 흘린 자는 함정으로 달려갈 것이니 그를 막지 말지니라

18성실하게 행하는 자는 구원을 받을 것이나 굽은 길로 행하는 자는 곧 넘어지리라
개으른 사람들이 널려있다. 무슨 조선시대 양반들의 장손들인양 손 하나 까딱하지 않고 부자될려는 온갖 수를 부리고 있는 것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나이가 지극히 많은 사람도 조금이라도 손실을 보지 않을려고 여러가지 수를 부리고 있는 것을 보면 나이가 들어도 배워야 할 것들을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물질같이 다 썩어 없어질 것에 쩔쩔매는 사람들은 하늘의 것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다.

잠언 24:14 – 27:27

14이른 아침에 큰 소리로 자기 이웃을 축복하면 도리어 저주 같이 여기게 되리라
말이란 어떻게 어떤 시간과 상황에 전해 지는 것이 그 말의 내용 만큼이나 중요할 수 있다. 그냥 말만 전한다고 다가 아니라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 하더라도 어떤 말투로 하는 것에 따라 그 말의 의미가 부여되어 전해 지듯이 말이란 여러가지 면을 고려해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15다투는 여자는 비 오는 날에 이어 떨어지는 물방울이라 16그를 제어하기가 바람을 제어하는 것 같고 오른손으로 기름을 움키는 것 같으니라
여자의 흔한 특성 중 하나는 한가지에 감정이 몰리게 되면 그 밖으로 쉽게 나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타인을 다툼의 대상으로 삼는데는 언급되지 않은 과정이 있었으리가 간주할 수 있고, 분명 어떤 부당한 것이 있다고 여겨져 다투게 되는 상황으로 전개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부당함의 정도도 사실 주관적일 수 밖에 없는 것, 감정이 한가지에 몰린 상태에서 부당하고 까지 느끼는 사람은 쉽게 타인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더 큰 그림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설득 할 수 있는 대상이 되지 못한다.

17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 같이 사람이 그의 친구의 얼굴을 빛나게 하느니라
가까운 사람만이 한 사람의 인격을 다듬어 줄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을 쉽게 상하게 할 수 있는 가까운 친구같은 사람이 없다면 분명 그 사람은 덜 성숙한 사람이다. 사람과 사람의 사랑이란 뼈를 깍는 정도의 고통의 문이 열릴 수 있는 모험을 품에 안고 하는 것이다. 그런 모험이 없는 안전한 사랑은 감정에 지나치지 않는다고 봐야 할 것이다.

18무화과나무를 지키는 자는 그 과실을 먹고 자기 주인에게 시중드는 자는 영화를 얻느니라
지킴과 시중드는 일은 둘다 섬김이란 것에 내포되어 있다. 꾸준한 섬김의 열매는 사람을 배부르게 하고 자신의 위치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

19물에 비치면 얼굴이 서로 같은 것 같이 사람의 마음도 서로 비치느니라
(바른 번역: 얼굴이 물에 비치는 것 같이 사람의 마음은 그 사람을 비치게 하는 것이라) 한 인간의 진정한 상태는 그 사람의 마음을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20스올과 아바돈은 만족함이 없고 사람의 눈도 만족함이 없느니라
특히 남자들이 포르노에 빠지는 제일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21도가니로 은을, 풀무로 금을, 칭찬으로 사람을 단련하느니라
사람들에 받는 칭찬은 매라고 생각해야 바른 것이고 그것으로 인해 들뜬 풍선처럼 푸른 하늘로 올라가서는 안된다. 사람들의 말, 특히 칭찬은 현실에 부합되어 나오는 말이 아니고 격려로 받아 드려질 수 있느나 그 말은 사람의 진정한 상태를 벗어나게 하는 말이 될 수 있다. 비록 칭찬으로 사람이 더 성장하고 힘을 얻게 할 수 있느나 그 사람이 자신의 상황을 잘못 이해하게 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어떤 면에서는 칭찬하는 사람들의 이중성을 생각해 쓰여진 말이라 생각된다.

22미련한 자를 곡물과 함께 절구에 넣고 공이로 찧을지라도 그의 미련은 벗겨지지 아니하느니라

23네 양 떼의 형편을 부지런히 살피며 네 소 떼에게 마음을 두라

24대저 재물은 영원히 있지 못하나니 면류관이 어찌 대대에 있으랴

25풀을 벤 후에는 새로 움이 돋나니 산에서 꼴을 거둘 것이니라

26어린 양의 털은 네 옷이 되며 염소는 밭을 사는 값이 되며

27염소의 젖은 넉넉하여 너와 네 집의 음식이 되며 네 여종의 먹을 것이 되느니라

Hiking: Pino trail

4 hours. 20 lbs. backpack. 1 liter of water consumed. With Eric.

A panoramic view

Tried out 500 ml of water that was flowing across the trail. Water tasted sweet! 약수물~!

Update: I realized in the US you aren’t supposed to be drinking from natural sources. My childhood experience of drinking water from local mountain has me unafraid to drink mountain water.

Hiking: Chimney Canyon Trail (137A) on a whim

May 20, 2021, Thursday
4.5 miles, 3,593 ft

I had been hiking every Saturday with my buddy Eric, and I had been wanting to a longer hike on La Luz. Typically, we’d do about an hour of hiking, and then come back down. Eric usually has his Saturdays scheduled to do some chores at the house. So, after taking an annual leave from work, I started to prepare for La Luz immediately after the morning service (6:30 am) on Thursday. My (Korean) church has a daily early morning worship that starts at 6 am. And thank heavens for online worship since the pandemic had started. I no longer feel guilty about not having to drive all the way there.

I didn’t know exactly what I wanted to do, but after some reading and watching of a show where bunch of guys were doing Three Peaks challenge in Korea, I learned of the importance of taking enough electrolyte and water. That’s exactly what I did, along with two oranges and two nutbars. Being a novice hiker, I didn’t have any trekking poles, or anything else that one’s supposed to take on a difficult hiking trip. I wasn’t expecting difficulties. I just wanted to do it longer than a couple of hours.

While on the first part of La Luz, I became curious about the trail ahead of me, so I downloaded an app called AllTrails, and, I immediately became aware all of the trails around me. I later found out the Chimney Canyon Trail wasn’t even on the official map, but AllTrails showed it. The starting point was close ahead of me, so I decided to take it on a whim. Mostly because all of the hikers seemed to be on La Luz, probably all the way to the top of Sandia, perhaps, to the Sandia Crest, and this new trail I was about to take on seemed to lead straight to the top without too many switchbacks. Again, being a noob, I didn’t know better. I just dove in. It forked to the left, and I found that the starting point was practically hidden from the main trail. The starting steps of Chimney was very steep. It was like a hidden ladder from the main trail. My knees don’t usually feel strong, due to some injuries from Taekwondo in my childhood, and many years of kendo practice, but I went ahead one step at a time anyway. As usual, I started to breathe hard, and even though I didn’t feel tired, my body wasn’t moving as fast as I wanted, but I kept on moving. The trail was mostly steep, but you did have a little switchbacks or flat trails along the way. I considered them as a small period of relief, and I appreciated them much more than I did on regular trails. Soon, I instinctively felt the need for trekking pole. I started by grabbing one dry tree branch nearby, and as the incline became even more steeper, I felt the need for another one.

Thankfully, most of the trail was visible, but probably due to the smaller number of people who’ve hiked on the trail, I could see how one could easily get lost. I could feel a rush of adrenaline at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top, and I was vigilant about which track I’m supposed to be on. There were at least three or four places, where you’re simply climbing over a narrow field of naturally strewn rocks. And then about the middle of Chimney, I found myself climbing an extremely steep wall of rocks. I went on for a good twenty minutes or so only to realize I was on a wrong path, because I didn’t see an end in sight, and I was pretty high up in a canyon of rocks. I felt I was off-trail, and probably because I was so high up in the area, my phone had a data connection, and I was able to see where I was on the map. At this point, I ate an orange I had brought along, and put all of the skin inside a Ziplock bag and put it in my bag. It indicated I had gone off-trail to north. So, I slowly climbed down, using the same posture I used to climb up, because it was so steep. I threw down two sticks I was using as poles, and was on all four climbing down carefully. I got back on the trail. The last part of Chimney seemed to follow along a rocky ridge on the left side, and then swing around to left and meet a fork.

That turn to left seemed to be the most difficult one. Again, it was mostly rocks in the first part, and then slippery ground due to a good amount rain that came down several days ago. I was able to see the fresh pole marks left by an earlier hiker. Seeing that there were only one set of pole marks, I was guessing that there was just one other person who had done the trail that day earlier. Anyway, I physically couldn’t move more than 3 or 4 steps at a time. I had set my watch on a timer for every 20 minutes for a water break, and was relatively consistent with that. My innards were crying out aloud, but I knew I couldn’t stop. I simply had to keep going. Having had no food that morning other than one nutbar, I was doing pretty good. I wasn’t feeling hungry at all. I wasn’t feeling fatigued, probably due to the adrenaline rush, but I guess it’s more of a dull ache mostly with my legs.

I don’t remember how long it took me to finish that last part, but I looked up and I could see that there was some type of plateau, and on my right, I could see the antennae. I was very close to the top!!

Looking down on my most difficult passage, I took a quick video. It really doesn’t capture much, but the canyon which I had come through felt like some mysterious rite of passage. I felt a great sense of accomplishment at this point.

I was somewhat excited that I would be at the Sandia Crest soon, but I realized this particular trail led around to get there, and I didn’t know how long I was in for more hiking. At the top of this passage, was a long birch tree that was cut down as if someone had laid it down as a resting spot across the visible trail. It was inviting for me to take a seat and rest for a while. I sat down, drank some water, and checked everything. I had felt somewhat dizzy climbing up, and I was breathing very hard, so I rested until my body felt calm. I restarted again by standing up and taking more steps. With the Sandia Crest right side of me, I seemed to be going the opposite way around a large bedrock on the right. I knew I was on the other side of the Sandia mountains, because I was able to see the town of Edgewood, the east side of the mountain.

Looking over Edgewood from near the top of Sandia

Not too long after this, this particular trail met North Crest Trail.

North Crest Trail. From here, it will lead straight into Sandia Crest!

The trail seemed familiar. It’s the trail along the top of the mountain that led to Sandia Crest. I had never been on this one, but having seen it on the map, added with anticipation, it felt like the homebound trail. After some coverage, it led to a path right along the fenced area for antennae on the right side, and then finally onto the parking of Sandia Crest. I think I may have spent around 5 hours climbing. Then two more hours waiting for my family to arrive to pick me up.

Lookout of the Sandia Crest

썩지 않을려면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않은 그대여

우리는 단기간 동안 이 세상을 지나가고 있는 체류객일뿐

이 땅에서 우리는 너무 쉽게 안주하게되고 나태해지며

창조주보다 이 세상의 것들에 더 의존하게 되므로

그러한 모든 것을 덫으로 볼 수 있다

사람의 마음은 만족이라는 것을 잃어버리는 습관이 있고

자신의 마음의 흡족함만을 추구하면 기쁨없는 쾌락의 미끄럼틀만 반복적으로 타게 되있으므로

자신을 나태하게 만드는 모든 것에서부터 깨져야 한다

여인 한명이 값비싼 향유 옥합을 깨뜨려 예수님의 머리에 부은 것 처럼

우리의 삶 또한 계속해서 깨뜨려져야 하는 것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을 부서버리고 깨뜨린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 것

자신의 것이 무너지게 되있고 쌓은 것들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깨짐으로서 새로운 것이 나오는 것이고

부서짐으로서 경신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 쓰래기가 되고 싶지 않으면

스스로를 깨뜨리는 연습을 하라

매일

모든 면에서

그의 말씀 앞에서

硏磨

Almost everyone around the world have been quarantined at home, and it’s a perfect time to brush up your skillsets. Let’s take a look at this word, 硏磨 (to grind, study, or research). 硏 refers to an inkstone, which is a flat stone. What do you normally do with an inkstone? It’s used to grind ink. Once ink is ground and contained, you would write with it. Writing is associated with studying and researching, therefore you have a process from grinding of ink to writing, where you would be studying or researching, so we have all of these meanings associated with this character 硏.

With 磨 (to grind or rub), we have a compound of 麻 (hemp) and 石 (stone). So, the character was for an act of using a stone-based tool to soften or decorticate hemp stalks. It was done by either grinding or crushing the stalks, so we have both of these meanings associated with this character. When an object is either grinded or pounded, it wears out and it can even disappear eventually. So, 磨 can also mean suffering, being worn down, or disappearing after being worn down.

Combining above meanings we can think of the meaning of 硏磨 as an act of studying and researching until the subject (who would be studying and researching) would disappear from being worn down so much. We can associate a degree of pain with such an act, and there is a sense of constant repetition. Therefore, there can’t be 硏磨 without difficulties and repetition. Such process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our skills and talents.

Even in English, the informal use of the word grind is associated with working or studying laboriously. So, it’s interesting to see that we have such commonalities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Source: https://www.donga.com/news/List/Series_70070000000757/article/all/20060104/8262972/1
Update and English translation by Michael Han (https://michaelhan.net)

行百里者半九十

Many people set New Year’s resolutions, but it isn’t easy to follow them through ’til the end of the year. Why is that? It’s because people aren’t determined enough to put that much effort into it. Why do so many find it difficult to put that effort in? It’s because they are anxious to reach it quickly. When we set out to achieve something in the future, it’s important to be diligent and persistent in order to reach a completion.

There’s a phrase 行百里者半九十. 行 originally meant an intersection, or a junction of two roads. This is where we get the meanings such as procession, or degree of relationship, as in 行列. There were many merchants at such junctions, so we also have words like market, or merchant. 銀行 (bank) consists of the word 銀 (silver), so it originally meant a place where you bought and sold silver. In the past, silver was used as a form of common currency. 洋行 means a Western-style store, or a new type of merchant. Many people walk about a junction on a road, so we also have meaning of going or moving around. In 行百里者半九十, 行 means going. Therefore 行百里者 means a person going one hundred ri.

半 originally meant half, but here it means considering as half. We just have number 九十 for a numeric value of ninety, but because of the word 百里 (hundred ri), we can assume the unit of ri here as in ninety ri. So, 半九十 would mean consider as ninety ri as half.

Synthesizing these together, we have, “a person set out to travel one hundred ri goes ninety ri and considers it a half of his journey.” With such attitude, the person will continue on with persistence, and will not be so anxious to get to the destination quickly.

A turtle has short legs, so it can only travel at a very slow pace, but don’t forget that it can also travel 1,000 ri.

Note: ri is roughly about an one-third of an English mile.

Original: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040104/8017106/1
English translation by Michael Han (https://michaelhan.net)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

출처:
안 규호, 2009.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 시사포커스. Available at: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645 [Accessed March 29, 2021].

사실 대한민국이 그동안 친일파를 청산하지 못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됐다.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부인을 할 수 없는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던 여성박사 1호인 김활란, 시인 모윤숙과 서정주 애국가 작곡가인 홍난파 등은 친일 행각이 알려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적지 않은 놀라움과 불쾌감을 가졌던 기억도 있다.

대한민국도 해방 이후에 친일파 청산의 노력을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1948년 ‘반민족행위처벌법’을 제정해서 의욕적으로 친일파청산을 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이 흐지부지 되면서 친일부역자가 단죄는커녕 정치권력 뿐 아니라 사회 각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행적인 역사를 연출한 것이 우리의 역사였다.

세월의 흐름만큼 많은 국민들이 친일파에 대한 기억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글로벌시대’ ‘지구촌은 한 가족’이라는 구호가 나오고 있는 요즘 친일문제는 ‘구태의연’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국민들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친일파 청산 없이는 우리의 역사가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친일청산의 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우리나라의 많은 초·중·고등학교 교과서 심지어는 대학서적에서도 일제시대라는 표현을 쓴다. 이는 정말 잘못된 표현이다. 일제시대(日帝時代)라는 말을 풀이해 보면 한자 뜻 그대로 일본제국주의시대라는 이야기인데 이는 일본의 제국주의 부활을 꿈꾸는 이들이나 부를법한 이야기이다. 치욕의 역사인 왜정시대(倭政時代)를 일제시대(日帝時代)라고 표기를 하고 부르는 것은 적당히 않다.

일제 침략기에 고생을 했던 많은 어르신들은 아직도 왜정시대(倭政時代)라는 표현을 쓴다. 왜정시대倭政時代) 즉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왜나라 오랑캐들이 정치를 하던 시대라는 뜻이다.
이젠 마무리 정리하자.

전국민이 이번 기회에 사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인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로 바꾸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면 한다.

내년 광복절에는 모든 항일순국선열들에게 떳떳한 날이 되었으면 하는 큰 소망을 해본다.

井中之蛙

原: 秋水/2 中 + 後漢書, 馬援傳, 等等
井蛙不可以語於海者,拘於虛也

同: 井蛙, 井底蛙, 埳井之蛙

井中之蛙 (정중지와, jǐngzhōng zhī wā, かんせいのあ) well / in / [of] / frog
A frog in a well. Referring to someone with a very narrow view of things due to ignorance. It comes from the saying, “a frog in a well doesn’t know about the great sea (井中之蛙 不知大海).”

This was near the end of Sin dynasty (新) which appeared after the end of Western Han dynasty (前漢). Wehyo (隗囂) of Nong-seo (隴西) maintained his relationship with King Gwangmu (光武帝) as an ally, but as King Gwangmu became more powerful he felt uneasy, and tried to form an alliance with Gongsonsul (公孫述) of Chok (蜀). Around that time, Gongsonsul had founded a country called Seong (成), and was calling himself an emperor (皇帝). The land of Chok was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the terrain made it a natural stronghold, so it was perfect to build up his power.

Wehyo decided to send Mawon (馬援) to Chok in order to find more about Gongsonsul. Mawon was born in Mureung (武陵) and he had moved to Nong-seo to avoid troubles after Wangmang (王莽) had died. After the move, he had accepted the request to become an advisor to Wehyo. Mawon was also a childhood friend of Gongsonsul.

Mawon eagerly looked forward to being received with a warm welcome by Gongsonsul, but he was met with a cold reception. Gongsonsul had been a king for four years, and he assumed a haughty attitude at the top of the stairs, and tried to give Mawon a government position. Of course, Mawon quickly made an exit and returned.
“The supremacy under heaven is yet to be decided, but instead of showing utmost courtesy to a capable person for advice on running a country, he only shows his haughtiness. One cannot discuss affairs of this world with such a person. He is a prideful frog inside of a well. It’s better to look to the East for going forward,” said Mawon to his entourage.

Mawon also said the same thing to Wehyo, and added, “He is merely a frog inside a well. You do not need to deal with him. I think it will be better to be more expectant from Han (漢).” With this, Wehyo gave up trying to form an alliance with Gongsonsul, and instead formed an amiable relationship with King Gwangmu, who would be the progenitor of the Eastern Han (aka Later Han.)

The expression “a frog in a well” was already widely in use before Mawon had used it. There is this narrative in Jang-ja (莊子): “A frog in a well can’t talk about the sea because it is inherently limited by the place (墟) it lives in. A summer bug wouldn’t be able to talk about ice because it only knows about the season of summer. You can’t talk about the Way (道) with someone who only knows about one thing because he is restricted by the limitation of his own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