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Haaretz (הארץ)

Earth and everything in it is His.

나이가 들수록 더 귀해지는 친구

이호선 교수의 세바시 비디오를 보고 나름 생각해 본다.

쉽게 정리하면 이렇다. 과거에 시공간을 같이 지내며 가까웠던 친구는 버리지 말고 더 자주 연락하면 지내야 하며 만나면 싫은 말은 하지 말라고 한다. 현제의 친구들, 즉 회사에서, 클럽에서, 교회에서 만나는 친구들은 미래를 같이 만들어갈 친구들이라 내 주머니에 현금과 같은 사람들이고 미래의 친구들은 과거와 현제의 친구들을 통해 만들어져가는 귀한 인맥들이 된다고 한다.

나이들어 사귀는 친구들과 사진을 많이 찍으라고 한다. 초청을 받으면 항상 받아드리고 가라는 것. 배려, 동정, 공유, 유머, 그리고 무엇보다도 초청에 수락하는 것들이 좋은 친구의 특징들. 그리고, 어디 여행을 가게 되면 비록 그 장소에 가까운 친구를 직접 만나지 못한다 하더라고 지나간다라고 소식을 꼭 전해 주어야 한다. 만나면 자랑하지 말라. 그리고 나이들어서 더 질높게 노는 시간를 가져라 등의 포인트이다.

과거의 친구

한국에서 10대 초반때 이민와 국민학교때 알던 친구들이 있다. 그나마 근 30년이 지나 인터넷으로 다시 연결된 친구가 몇몇 있지만 너무 오랫동안 보지도 못하고 연락도 못하지 지내서 그냥 존재만 인정하는 정도.

미국에서 국민학교 1년 그리고 중학교 2년을 다니며 가깝게 지내던 한인 친구들이 몇몇 있었다. 그러나, 난 지역에 동양인이 별로 없었던 시절에 백인 친구들만 많았던 과학고에 시험을 봐 합격되 들어가는 바람에 중학교때 죽마고우 처럼 가깝게 느겼던 한인 친구들과는 이별?을 하는 것 처럼 되었다. 사실 내가 다른 학교를 가게 되니 그들이 모여 놀때는 나를 좀처럼 끼워주지 않게 되었고 점점 멀어졌던 것 같다. 비록 교회는 꾸준히 다녔지만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은 누나 형들이었고 또래 나이에 있던 교회 친구들은 다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너무 일찍이 미국에 이민와서 그랬는지 좀 벌러덩 “까진” 아이들이었다고 표현할 수 밖에 없다. 아무튼, 교회 중고등부에서 이민온지 얼마안된 동생같은 아이를 매주 집에 대려다 주며 가깝게 지내는 친구아닌 친구가 생기게 되고 그랬다. 과학고에서 미국인 친구 몇몇과 대만 친구 하나가 있었는데 이들은 다 아이비리그로 빠지고 나는 신학교를 가는 바람에 또 그들과 멀어지게 되는데 이건 사실 미국 처럼 땅덩어리가 큰 나라에서는 너무나 흔한 현상. 여기 저기로 대학들로 가다보면 다 뿔뿔히 흩어지게 된다. 이때 가족과 분리되어 독립하게 되는 것이 미국의 일상이다. 그리고 신학대학을 다니며 KCCC에서 알게된 목사님들, 형들과 친구들. 시카고에 와서 여러 교회들과 신학교들을 통해 사귀었던 친구들. 사실 내가 연락을 않해서 멀어진것이지 다시 연락하며 얼만든지 친구처럼 보낼 수 있다고 생각은 한다.

이런 많은 친구들 중에 나와 계속 꾸준히 연락하는 친구들은 다 그 때 가정 형편이 힘들고 마음에 상처들이 있던 친구들이었다. 나에 대해 그들이 말하는 것을 보면 나도 조금 놀란다. 내가 그렇게 그들을 위해 시간을 보냈던가? 생각해보면 내가 그들에게 전도하기 위해 순수한 마음으로 전도를 했던 기억밖에 없다. 몇 시간이고 아파트 계단에 앉아 대화를 하며 기도해 주었던 기억들뿐. 오늘 날 이 몇몇 친구들은 나를 무슨 은인처럼 대하고 있지만 진정한 은인은 위에 계신 분이다.

현재의 친구

지금은 회사와 교회 그리고 검도 클럽이 있다. 회사에서는 딱히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한인 지인이 같은 부서에서 일하고 있고 나보다 2~3살 위인긴 한데 나름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사람이라 좀 처럼 가까이 지내기는 쉽지 않다. 교회에서는 또래 30~40대가 별로 없다. 2~3명 있어도 다들 이민온지 별로 안되거나 삶이 너무 바쁜 사람들이어서 시간내기가 힘든 사람들이다. 그리고, 사실 나도 바쁜 것을 보면 이 나이때 사람들은 다 바쁜 시기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교회에 대한 넋두리를 풀면 책한권이겠지만 시골 아닌 시골 같은 미국 도시에 살기로 한 이런 건 충분히 감수해야지 계속 밉상인 사람들을 밀어내면 주위에 사람이 없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언제 교회가 문제가 없고 완벽했는가. 주신 사명 안에 바른 관점과 노력에 달린 것이지. 그냥 쉽게 벗 삼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조금 아쉬울 뿐이다.

그것도 그런것이 나같이 어릴 때 이민와 미국에서 교육받은 친구들은 다들 대도시에 있지 이런 외진 곳에 오지는 않는다. 20대 30대를 미주한인 청소년 사역에 불태운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가정도 신경을 써야 해서 뭐 불태웠단 표현은 조금 과한 표현이란 생각도 들지만 무식하게 황야같은 한인교회에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청소년 사역에 뛰어든 것을 뒤로 돌아보면 그런 표현도 적절하단 생각도 든다. 지금 사는 곳 근처에 미국에서 태어나 자신이 미국인이라 생각하고 자라고 한인 여자와 결혼해 가정을 꾸리고 있는 친구 하나 있지만 그는 평생 돈만 벌면서 살아서 대화하면 가치관의 차이가 너무 난다는 것을 느낀다. 그 도 기독교인이긴 하지만 교회도 안나간지 오래 된 것 같고 세상의 먼지가 가득히 느껴져 대화를 하다보면 나의 참을성만 계속 자극하는 것을 느낀다. 대화의 장벽, 문화의 장벽, 나이의 장벽, 경험의 장벽, 가치관의 장벽… 장벽 투성이겠지만 사랑으로 감싸주지 못하겠느냐만 나이가 들면서 그런 것들을 넘어 주는 것이 더 귀찮아졌다. 항상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친구를 대하는 것이 부담이지 않겠는가. 스스로도 조심해야 겠지만 돼지에게는 진주를 던지지 말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더욱 실감이난다. 신나게 같이 모여 대화를 주고 받으며 좋은 시간을 보낸 것 같은데 나중에 들려오는 소리는 칼 같은 말로 등에 비수가 꽂혔던 것 같았다. 무슨 자랑도 아니고 수수하게 그냥 대화 했다고 생각했는데 가르치는 느낌을 받았는지 상당히 싫었던 모양이다. 수십년 어린 학생들만 대한 나로서는 또래 사람들과 대화할때 너무나 자연스럽게 선생님처럼 나온니 그냥 피하는게 더 편한 것 같다. 물론 과거에는 다들 무엇이라도 배우기에 갈급한 상태여서 가르치는 사람을 소중히 여겼을때가 있었지만 그런 시대는 끝난 것 같다. 시카고에 있을때도 또래 교인들이 모이고 장로님들과 목사님이 일찍 떠나면 소주잔이 나오고 그랬는데 난 술은 못한다. 그래서, 비록 초청의 제스처였지만 일부러 나도 일찍 모임에서 나왔다. 같이 놀아주고 마셔주는것이 힘드니 가깝게 지내기가 쉽지 않은 건 당연지사.

전도사로 가정을 가지고 생활을 할 수 없는 형편이어서 주중에 컴퓨터 관련 일을 같이 평행으로 해왔다. 컴퓨터 관련 일은 국민학교때부터 아르바이트로 했으니 그건 30년, 평행은 20여년… 중년에 들어서면서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았던 전쟁에서 돌아온 전사같이 만신창이가 된 느낌이다. 어느 목사가 나의 정체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다가오면 어떻게 시원히 답변해 줄 수 없다. 자신은 목사로서 정체성을 뚜렸히 습득했는지 몰라도 난 여러 목사들에게 받은 상처 투성이니 별로 설명해 주고 싶지도 않다. 그 들은 타인에게 또는 아내의 희생을 받으며 학교를 다니고 그랬겠지만 난 타인의 도움없이 아내와 가정을 위해 일하며 학교를 다녔고 차 개스 돈을 아끼기 위해 매 금요일 부터 주일까지는 교회 책상위에서 수년동안 밤을 지냈다. 난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교를 간 것이 아니라 단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기 위해 간 것 뿐. 처음엔 그것이 청소년 사역인줄 알고 어떻게 먹고 살아갈 것 인지는 오로지 하나님에게 맡기고 중고등부 전도사가 나의 평생직이라 생각하고 임했다. 그리고, 같이 일했던 전도사들이 목사가 되기 위해 중고등부 사역을 신학도때만 하는 디딤돌로 여기고 졸업후 몇 년 후에 그냥 청년 그 다음 어른 목회로 가는 것을 보고 나는 큰 실망에 빠졌고 나는 목사가 되지 않기로 결심했다. 수십년 이런 저런 사역자들을 만나며 늦게 깨닳은 것은 한인교회는 엄밀히 말하면 이민 1세들의 교회다. 거기엔 한인 2세들이 설 곳 도 없도 설령 있다한들 그냥 “아이들” 사역이 되어버린다. 이런 배경에서 한인들 중 자신들의 자식에게 한국어까지 제대로 가르치는 가정은 별로 없다. 다들 세속적 성공에 모든 것을 투자하고 있는데 아이들의 가치관이 보이지 않는 하나님 중심으로 형성이 된다는 것은 기대하기 힘든 현실이다.

이런식으로 한인 교계가 세대가 지나며 발전이 없는 것은 목사들이 목사직이 하나님의 부르심보단 그냥 직업이며 하나님이 아니라 스스로를 神聖不可侵한 영역으로 줄을 그어서 그런 것 같다. 인간이면 누가 비판을 좋아하겠느냐만, 그러나 실질적으로 개인적인 감정적으로 받아드리는 것보다 교계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드리면 더 건설적으로 발전이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든다. 교인들을 자기 편만들기 수법으로 신성모독으로 포장을 한 후 사탄 마귀를 몰아내는 것처럼 사람들을 몰아내는 쇼를 하는 치사스러운 목사는 이제 그만 보고 싶다. 교회란 이런 지도자들이 反響窒을 만들어 그 효과로 발전없이 침체되기 때문이다. 큰 마음 또는 사랑을 설교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그런 마음을 가지고 일대일로 직면하여 사람을 대하여 감명을 주었던 과거의 목사형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든 것일까? 그냥 反響窒 만들기에 집착한 지도자들이 너무 많다. 외부에서 오는 비판들은 하나님도 안믿는 사람들이니 들을 가치도 없다고 치자, 그러나, 내부적으로 들려오는 목소리까지 차단시키면 그냥 스스로 완강해 지는 수 밖에 없다. 일단 하나님의 말씀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수단으로 이용되기 시작해 버리면 회개란 타인에게 필요한 설교 제목으로 전락한다. 이런 모습은 교역자들의 생계를 책임져 주는 교단에서 더 많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목사는 목사끼리만 통하는 것들이 더 많으니 평생 교인탓을 하며 서로 잘못된 것들은 그냥 눈감아 주고 다독여 주면서 反響窒효과가 시너지효과와 더불어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니, 계속해서 기독교가 개독교로 전락하고 목사들이 먹사라 불리지 않나 생각된다. 물론 교회에서만 이런 것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만 거리를 두고 봐도 다른 단체에 비해 인력 미개발 지역처럼 느껴지는 곳이 교회이니 과거에 전쟁 후 아무것도 없었던 한국같은 상황에서야 교회가 사회를 인도하는 모습으로 보여졌던 것이었다. 아무튼, 나름 處士의정신으로 살기 시작한 것 같다. 士도 아닌 주제에 處士라 칭하는 것도 과분이라 생각되니 그냥 시골의 한줌의 土라 여겨 스스로 處土라 칭해야겠다. 歸原이라 할까.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면서 19세기 西勢東漸으로 인해 근본없어진 사람들의 문제에 대한 대응에 대한 생각이 더 확고해진 것 뿐이라 뿌리를 찾아가 접목해야 한다는 필요를 느끼는 것이다.

검도클럽에서 꾸준히 나오는 사람들과는 10여년 같이 연무를 이어오니 가족처럼 가까와 질 수 밖에 없다. 일주일에 두번 많았을 때는 세번씩 만나며 잠깐 잠깐 대화하며 서로 기분 나쁘게 할 일이 없이 같이 땀 흘리며 연무에 집중하니 그럴 수 밖에.

내가 오늘 죽으면 나의 장례식에 올 사람들은 수백명 수천명은 아니어도 멀리서도 비행기 값을 지불을 해서라도 올 친구들이 몇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으니 사실 나는 행복한 사람이다.

Spineless

This is why 38North is a reliable source on NK. They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are able to predict the next move fairly accurately. It’s sad that such in-depth analysis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come by in Korean language itself. This is probably due to the political polarization in South Korea that has been in the works for so many years now. It was incredulous to find most of the media outlets, spineless political leaders, and so-called “think”-tanks ganging up on North Korean escapees for sending leaflets to help reveal truth to people living in North Korea. They’ve been doing this for decades now, and all of sudden, it’s a problem in South Korea only because North Korea made it a problem at an another level. The leaflets flowing in from North to South are mere propaganda based on lies, of course. I’m not sure why the political leaders in South Korea aren’t seriously thinking about moving to North Korea as a place of new residence. The received wisdom and experience of the past seems to have been defenestrated. As the old idiom goes, Korean political scene has become even more myopic like a frog inside a very small well. Seeing how the public is easily swayed to believe in an administration that has practically done nothing except to make boasts over a natural disaster, the public wisdom is no better.

“If history serves as any indicator, Pyongyang will eventually shift from its anti-South Korea campaign to the US. North Korea’s Foreign Minister Ri Son Gwon already issued a statement on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Singapore Summit that described the diplomatic window of opportunity as nearly closed due to many of the same grievances it has with Seoul.[13] North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US on June 25 will be a good indicator of how soon the North will start priming its populace for an anti-US campaign.”

A quote from the article below

North Korea’s Anti-South Korea Campaign from 38North.

Apartment price in Seoul jumped 52% in last 3 years

2020-06-23

When Moon Jae-in took office, one of biggest promises was to lower the housing cost, but lo, behold, it has doubled during his presidency.

This is a classic example of impotent leadership. Many of his cabinet members, and including numerous leadership from his party have been proven guilty of owning multiple houses using different family members’ names, and by none other than those who had been outspoken about housing price reform.

President Moon had said that he’s confident about his administration reforming the housing price issue back in November of 2019
52% housing price jump compared to the last administration

China puts their last of the GPS satellites into orbit

2020-06-23

China now has their own GPS system.

“Lan Chung-chi “BeiDou system” spokesperson

“It will be the world’s most useful satellite-based GPS system. In all metrics, it performs at the best, world-class level,” says Lan Chung-chi.

US currently has it’s original GPS, with improvements, Russia has GLONASS, and Europe has Galileo system. The Chinese system is called BeiDou, and currently at BeiDou-3/Compass.

A recent study related to this: https://www.mdpi.com/2072-4292/12/11/1853/htm

Some news links:

착한소비 vs 착한사람

인간의 역사를 경제적인 것을 주로 보는 추세는 무신론적인 현대인의 사회에서 종교를 쉽게 대체할 수 있는 물질중심의 종교적 해석으로만 들린다. 미덕의 기준도 쉽게 이해되는 공리주의에서 멈추어져 있고 더 근본적인 질문은 아에 생각조차도 할 필요도 없게 만드는 너무나 간편한 해석으로 설명되있다. 착한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착함 이라는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이 착함의 기준 또한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인류 모두 공유하는 가치관이란 것을 찾게 된다. 그럼 인류 모두 공유하는 가치관은 어디서 발생되었는가? 진화 무신론적 발상으로는 카를 융의 해석으로는 어떤 세계의식이 있어 모든 사람이 비슷한 가치관을 가지게 된다고 정신분석학계에서는 이야기한다. 사실 힌두교의 우주적 아만(atman)의 종교적 개념에서 그리 멀지 않다. 여기에 현대식 진화론을 끼워넣은 설명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은 어떤 초 전형적인 가치관을 공유해 왔고 그것은 인간의 자의식과 인간사회를 가능케 했으며 이것이 인간과 원숭이를 갈라놓은 것이라 설명을 한다. 그러나, 천년 만년 원숭이들에게 도덕을 가르치면 무엇하겠는가? 원숭이는 원숭이 밖에 낳지를 못한다. 원숭이가 절대 사람을 낳지 않는다. 그냥 밑에 너무 쉽게 깔려있는 진화론의 근본적인 문제는 절대로 언급되지 않는다. 왜냐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과학과 개인경력을 쌓았기에 그것을 부인하기에는 有神論的인 위치를 취하여 하기 때문이다. 직설적으로 말한다면 바로 하나님의 인격에서 사람의 가치 기준과 어떤 것이 인간다운 것이지의 대한 답이 나온다. 그래서, 수만명의 정신 환자들을 치료한 현대 정신분석 융학자들도 성경이 인간 심리에 제일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아무튼, 희생의 기본은 하나님의 인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것이 착한소비를 가능케 하는 근거지인것이다.

외로움

현대사회의 재일 큰 고질병은 외로움이다. 미국 신학자 Francis Schaeffer도 현대인의 재일 큰 문제가 외로움이라 가르쳤고 스위스에 라브리 공동체를 만들어 누구라도 와서 사람들과 연결하고 생활할 수 있게 만들었다.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는 오로지 용감한 신앙만이 우리가 겪고 있는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라고 했었다. 혜민 스님은 타국의 복지시스템과 현대사회에서 나름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면서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라는 매우 당연하면서 중복적인 방향으로 가르키고 있다. 그렇다, 지금 인터넷으로 사람과 사람들끼리 매우 연결되어 있지만 마치 거대한 바다 위에서 목말라 죽어가고 있는 현대인들이다. 아이들이 사람들과 관계맺는 부분에도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어 깊이 있는 관계를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이 더 줄어가고 있다. 거기에다가 인공지능이 사람들을 대면하며 서비스를 해주고 지금 순간에는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집에서만 생활하고 있는 중이다. 더 고립된 생활에서 당연히 더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이란 문제가 더 확대되기는 당연한 것이다.

그렇게 많은 나라 중 미국이 코로나에 더 취악한 것을 보면 사람들이 얼마 만큼 사회의 대면하는 연결고리에 의존되어 왔나 생각할 수 있는 것 같다. 미국에서는 근처 가게에서 줄서고 기다리고 있으면 누구든 쉽게 말을 건내주고 받는 문화이다.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길거리에서도 누군가 쉽게 말을 건내면 마치 옆집 사람인 것 처럼 답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미국 문화다. 이러한 사회에서 코로나는 심지어 이런 간단한 사회적 교차까지 없애버리니 미국 사람들이 가만히 있지 않는 것인가 생각해 본다.

집에 와이프와 아이 셋과 근처에 어머니, 심지어는 여동생까지 어머니랑 있겠다고 와 있어서 항상 사람이 있고, IT에 종사하다 보니 오히려 일이 더 많아졌다, 그래서 외롭다란 생각을 별로 할 기회가 없다. 외롭다란 생각이 들 정도로 좀 한가한 시간을 보내 아직 읽지 못한 책들이라도 쉬지 않고 계속 읽고 싶다. 글쓰는 것은 그냥 생각나는데로 이렇게 라도 쓰는 것에 일단 만족이다.

https://youtu.be/2DdPykroV_M

치매와 연관된 것들

  1. Age (나이)
    Much more vulnerable after age of 65. The risk doubles every five years, and then 1/3 of getting it after age of 85. 65세 이후 더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그 이 후 5년 마다 증폭된다. 85세 이후는 걸릴 가능성이 33% 정도 된다.
  2. Family story (가족 사항)
    부모나 형제 자매중 치매가 있으면 확율이 높아진다.
  3. Genetics (유전)
    Only less than 1% of the cases are related to genes. 사실상 1%도 안되는 해당 사항이다.
  4. Other factors (다른 사항)
    1. Head injury (두부외상)
      머리는 항상 보호해야 한다.
    2. Heart-head connection (심장 건강)
      심장을 튼튼히 하기 위해 보통 때 운동을 꾸준히 해야 머리 건강에 좋다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출처: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

한국을 第一치매國이라고 한다. 한국 사람들이 치매가 재일 많다. 그 다음엔 일본이다. 홍창형 교수는 치매가 나이가 들면 모두 다 겪을 수 있는 것으로 사회가 자연히 받아드려야 하는 것이라 한다. 그렇다, 아직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어떤 장애가 있으면 사회에서 외면당하기 쉽운 사회가 한국사회이다. 노인복지천국이란 일본도 老치매환자들을 돌보느라 돈을 너무나 많이 쓰고 있어 이것을 충당하기 위해 모든 시민들이 세금을 더 내고 있다.

생각에는 그냥 개인적으로 머리의 신경 접합부들을 더 많들고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치매를 오래 지연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두뇌학자들이 이미 나이가 많이 들어도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은 어느 정도 유지가 되기 때문에 나이가 있어도 뇌를 쓰면 인지적 비축분(cognitive reserve)이 생겨 치매증상을 늦출 수 있다는 결과가 있다. 그럼 어느 정도써야 도움이 되는 수준인가? 그것은 마치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이 정신적으로 맞이한 정도의 수준이어야 한다. 즉 개인에게 어느 정도 닺기 힘든 수준이어야 하며 정신적으로도 힘들다란 느낌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전적 수준이다. 그것은 내가 쉽게 쥘 수 있는 목표보다 조금 더 먼곳에 있다는 것이다. 그냥 내가 간단하게 풀 수 있는 수준, 매일 30분 정도 한다고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 이 포인트를 잊어서는 않될 것 같다. 나에게 도전이 되고, 내가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수준인것이다. 그 수준이 되어야 두뇌에게 도움이 되는 수준인 것이다. 물론 중년이 넘으면 내가 무엇하러 이런 것을 이렇게 힘들어하며 배워가야하냐 하며 스스로 의욕을 꺾어 버리는 것을 많이 본다. 이런 흔한 정신이 한국사람들 사이에 많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치매에 많이 걸리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냥 수동적으로 쉽게 할 수 있는 TV 시청 정도로 배우는 것에 충족하고 사는 생활 습관이어서 더 많은 한국인들이 치매에 걸리지 않나 생각해 본다.

중년이 넘은 분들을 위해 다음을 추천해 본다: 새로운 언어 배우기, 내가 읽지 않은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책읽기, 음식 만들기를 시작해 보기, 코바느질 배워보기, 몸에 너무 많은 무리가 가지 않는 검도 같은 운동을 시작해 보기 등이다. 다 내가 해본 것이고 지금도 계속 이어나가는 것들이다. ㅎㅎ.

다른 요점들은 반복, 적용, 기타등등 보통 학습에 연관된 기본 상식이다.

코가 석자

힘들기로 잘 알려진 공부 분야에서 위촉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던 젊은 친구가 중국이 삼성을 못 따라간다고 자부심을 표했고 그것은 삼성이 외계인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물론 그 만큼 앞서 있다란 표현이겠지만 더 크게 보면 메모리 분야에서만 상당한 비율의 시장을 가지고 있지 비메모리 분야까지, 즉 인텔과 AMD가 만들어네는 CPU 같은 분야를 포함하면 비교 상대가 안 될 정도로 적은 규모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음식 시장에 비유한다면 마치 세계 김치 시장의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마치 모든 음식 시장에서 주름잡을 정도 된다고 착각하고 있는 현상과 같은 것이다. 중국과의 비교도 그렇다. 쉽게 결론부터 말하면 비교할 상대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2050년 정도면 인구 감소 때문에 한국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고 말하고 있고 반면에 중국은 인구 감소를 일부러 노력하고 있는데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이다. 수 백년, 아니 수천년 그래왔다. 일본하고도 비교해도 일본은 이미 토쿠가와 시대에 세계 4위에 드는 인구를 가진 도시가 있었고, 한국도 상당히 발달된 농업으로 인해 이미 G20에, 만악 그 때부터 있었다면, 16세기 부터 가입할 수 있는 나라였다. 그래서, 우리 부모 세대까지 부유한 한국을 경험했던 것이지 이로 부터는 그런 시대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인간 역사를 보면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대부분이 가난했었다. 그러나, 우리가 중산층 정도만 되도 과거의 역사에 비해 왕같이 사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볼때 가난이란 것은 모면하기 힘든 것이 되는 세계로 변화되는 것 같다. 한국인으로서 또는 미주 한인으로서 한국 드라마와 노래가 잘 팔린다고 삼성 제품이 잘 팔린다고 으슥그럴때가 아니다. 우리코가 석자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돌아가는 것을 보면 다음 세대에게 미안한 마음 뿐이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가 아니다

국가별 창업 실패 횟수를 보면 한국의 어떤 경제적인 면보다 문화및 사고적인 면을 보는 것 같다. 보통 사업에 한번 실패하면 가정의 모든 사람들이 다시는 사업을 하지 말라고 말린다. 물론 한戰이후 대기업 위주로 돌아갔던 경제 방침때문에도 그렇겠지만 수십년동안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보증을 서줘서나 아니면 빛을 져서 죽을때까지 고생만하다 간 사람들을 많이 봐와서 그런 것 아닐까? 이런 인식이 쉽게 바뀔 것 같지는 않다.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그러기 위해서는 경제 기본 지침와 방침들이 세워져야 한다. 그냥 돈 쓰라고 아니면 취직에 도움되라고 용돈 정도나 주고 있는 한국 정부와 서울 지차제 정부를 보면 콧 웃음이 나온다.

“BTS and K-pop’s future” by Si-hyuk Bang

BTS is unique in that all of the members freely produce their own version of music and performances. They have all three 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autonomy, purpose, and mastery. Once it’s put into a motion, it becomes a self-sustaining group of success. Add to this, the group synergy, and you have a world-class formidable group. Remember, they started out as a group of country bumpkin te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