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serving blindspots

Every organization reflects the values and the beliefs of its leader and constituents. And it’s not difficult to observe a gamut of characteristics that flow out of how the organization is run. The best perspective can be gained from inside, of course, regardless how it is viewed from outside. The net effect of an organization and the glow around it is usually not reflected internal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n organization, the externality of net effect of the organization may be of the greater importance than the experience of what is going on internally. However, all organizations concern themselves heavily with the internal experiences of its constituents, especially those with authority and power.

The ideal, Platonic image of a philosopher king may strike as quaint for many, but the health of an organization often depends on it. It seems that the human tendency, unbeknownst to himself, is to set up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of environment that best serves himself.  Acton’s dictum reminds us that absolute power corrupts absolutely, and we see the effects ubiquitously. With authority, power, and influence is typically taken for granted in a handed-down framework, and constituents become somewhat of a captive audience with assumed roles. In many small scale, we see this playing out in cult groups, and there’s only a paper-thin difference when compared to socially accepted organizations. With the right elemental factors, the organization can sustain itself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remaining remarkably ineffective. In this reality, we often trust our leaders, mere human being, with a great risk.  Integrity is often cited, but not practiced.  Integrity comes with a heavy responsibility that should test the limits of internal conflicts we experience as human beings, but not many individuals are built to withstand such awesome struggle without a sense of abandonment of self.  Without such tension at a highly private mental and spiritual space of leaders, we often get cheap imitations that behind a veil of public image turn out to be self-serving individuals to thrive. This is a sad reality of society we live in, and even though we have few examples in history such as Byzantine empire that groomed royal retainers, the modern society has completely abandoned such ideals to allow untamed, and uncultivated anima in the laissez-faire genius of Enlightenment.

安時: 2018年 2月 1日 (木)

2/1/2018 (목)
행 5:12-26
사도들의 표적과 기사를 보고 수 많은 사람들이 주 예수를 그리스도로 영접하게되지만 시기하던 대제사장들과 성전을 중심으로하는 종교 지도층의 사람들은 사도들을 잡아 옥에 가둔다. 하나님의 천사가 사도들을 옥에서 기적적으로 나오게 하고 성전에 가서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고 명령하고 사도들은 순종한다. 종교 지도자들은 다시 한번 그 들을 잡을려고 하지만 따르는 무리가 많아 어떻게 하지는 못한다.

사도들을 통해 새로운 일을 하시는 하나님. 병든 자들을 고치시고 귀신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자유케 하시고 예수 천국 복음을 전하는 사도들. 원래 사두개파 유대인들은 모세 오경에 큰 비중을 두어 성전의 제사장의 역활을 신앙의 중점으로 보았던 사람들이라 정신적으로 성전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했었다. 그러나, 정작 하나님께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즉 생명의 말씀을 전하는 사도들을 핍박하는 사람들이 다름아닌 하나님의 말씀을 더 잘 알고 더 말씀에 충실할려고 했던 이들이었던 것이었다. 하나님의 일에 동참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정 반대편에 앉아 심지어 예수님까지 십자가에 죽였던 사람들. 그들은 복음의 사자들을 옥에 가두고 기회가 있었으면 죽이기까지 했을것이다. 그렇다.  말씀을 알아도 바로 알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리고 아는 것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더 바르고 진실된 것을 보이실때 그것을 겸손히 받아드릴 수 있는 마음의 자세와 순종이 필수적인 것이다.  영어로는 teachability. 주위에 보이는 사람들은 자신의 견고함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고 심지어 말씀에 대한 무지를 당연하게 여기면서 더 배우고 순종의 길을 걷기를 아에 생각조차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많이 알고 거기서 그치는 것도 문제지만 모르는 것에 대한 담대함은 더 곤란한 입장이다. 그냥 책을 읽기 싫어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에 마음의 문을 닫아 하나님께서 어떤 새로운 일을 하시고 새로운 방향으로 인도하신다면 나와 자신이 편히 살고 있는데 왜 와서 방해하는 냐란 태도를 취할 사람들이다. 이런 것을  두고 강퍅하다라고 한어로 표현한다. 강퍅한 마음. 하나님이 사도들을 은혜의 통로로 사용하시는 동시에 이런 강퍅한 마음을 가진 자들의 어처구니 없는 행동을 우리에게 말씀을 통해 보여주신다.  나의 마음은 강퍅한가?  아니면 하나님께서 보이시는 진리가 나를 변화할 수 있는 마음 가짐을 가지고 있는가?  주여, 너무나도 쉽게 강퍅하게 변하는 마음의 주의 성령의 뜨거운 불로 녹여주시고 뜨겁게 하여 나의 토기장이 되시는 주께서 나를 주가 원하시는 도구로 사용 될 수 있게 빚어 주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온도의 차이

100여년의 저온도를 기록했다던 한국의 겨울. 가만히 있어도 맨살이 시릴만큼 추웠나 보다. 그러나 여기는 눈 한번 오지 않고 도리어 가을의 선선한 느낌이나서 아직 입동하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분명 밤의 온도가 보통때 보다 낮아 춥다란 느낌이 든 날이 있었다. 그런 날에는 방에 있는 휴대용 난방기를 틀어서 따스함 가운데 포근하게 잠을 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시 남쪽에 있는 직역이라서 그런지 대채적으로 아직까지는 따뜻하다. 추우면 체온의 유지를 위해 더 두꺼운 옷을 끼워입고 따뜻하면 그럴 필요없이 편하고 얇은 옷으로 지내게 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것이다.
 
사람도 비슷한 것 같다. 마치 휴대용 난방기처럼 주위 환경을 따뜻하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찬 바람을 지니고 다니는 사람이 있다. 각 사람의 기질의 차이라 말할 수도 있겠지만 40여년 삶을 살면서 경험했던 독특히 따뜻했던 사람들이 있다. 기질의 열이 아니었다. 성격도 아니었다. 시카고에 있는 무디 신학교를 다닐 때 알고 지냈던 이 전도사님이란 사람이 그 독특했던 사람이다.
 
나보다는 몇 살 위셨지만 항상 예절을 지켜 대해 주셨고 만나면 항상 이상하게 과분한것 같은데 과하지 않는 기쁨이 넘치시는 분이었다. 학교에 그를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은 그에 대한 언급만 나와도 환하게 미소를 지게하는 인물이었다. 이 전도사님을 만나면 일단 상대를 진정하게 환영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하루 전 만났는데도 불구하고 다음 날 만나면 마치 오랬동안 멀리 지내다가 다시 만난 친구처럼 그는 깊은 친근감으로 접근해 가까이 와서 나와 소통하기를 원한다는 느낌을 강하게 준다. 사실 건강하고 화기애애한 가정에서는 이런 태도는 당연할 수 있겠지만 최소한 儒敎的으로 엄격한 어른들의 무언이 가득했던 가정에서 자란 나에게는 생소하다 못해 과잉반응처럼 느껴진 것이 사실이었다. 어떻게 이 전도사님은 이런 사람을 향한 태도를 매일 뜨는 태양처럼 유지할 수 있는지가 나는 무척 궁금했었다. 물론 신앙인으로서 하나님의 은혜의 감동으로 가능하다는 것은 머리로 알고 있지만 그렇게 현실에서 만난 사람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그와 만나 오랜 시간 대화를 했었다. 그 온기의 비밀은 다름아닌 은혜앞의 겸손이었다. 그의 설명은 이러했다. 집에 오면 반겨주는 강아지를 보라. 주인의 과거를 따지거나 자신의 상태와 무관하게 집개는 집사람을 마치 재일 사랑하는 사람처럼 반겨준다. 집에 올때 그렇게 반김을 받을 때 얼마나 기쁘고 기분이 좋은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우리가 최소한 할 수 있는 것이 타인을 집개처럼 반겨주고 받은 은혜를 나누어 주는 것이라는 것이었다. 이 전도사님은 다 힘들어하고 지쳐있는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조금이라도 힘이 되라고 일부러 그렇게 꼬리 흔드는 강아지마냥 사람들을 반겨주었다는 것이었다. 그의 본 성격은 내성적인 성격이다. 그러나 자신을 개 만큼 낮추었던 이 전도사님이었다. 그렇다. 버려진 개보다도 못한 우리를 구원해 살리신 십자가의 은혜인데 아무데다가도 쓸대없고 구차한 인간적 자존심 때문에 우리는 타인에게 따뜻한 온기를 주는 그리스도의 촛대가 되지 못하고 도리어 찬 바람 쌩쌩끌어오는 냉장고같은 사람이 되지는 않았는지. 이 전도사님의 따스함은 분명 오랫동안 느껴보지 못한 그리스도의 향기인 것 같아 더 그립다.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 네게 보이셨나니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이 오직 공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히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가 6:8

죄인 중에 괴수

현대인들은 번뇌가 많다. 관계에서나 자신이 무엇이 모자란 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이다. 여기서 해방은 쉽다. 자신이 최악이며 자신 보다 더 상태가 나쁜이가 없다고 알고 인정하면 된다. 儒家의 中樞되는 가르침은 인간성의 회복이지만 근본적으로 자아실현을 위한 자아과민증에 취약하다. 그리스도인도 자신의 거룩함에만 집중하면 비슷한 병에 빠지는 것 같다. 무모하게 십자가 보혈의 은혜앞에 자신을 맡겨 버릴 수 있어야 해방된다. 자신은 없어지고 십자가 앞에서 신비로운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하고 순수한 경배를 드리자.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 딤전 1:15b

烏合之卒

목적 상실에 자신의 분수도 모르면서 옹졸한 자존심만 쌔서 거만하기 짝이 없어 나이값도 몸 값도 못하는 주제파악, 현실과 자신의 감정까지도 구분 못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무언가를 할려고 하는 모임. 이런 사람들은 사실 새운 목적을 같이 달성을 위해 모인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자신이 빠질 수 있고 덜 일할 수 있는지를 위한 모임인 것 같다. 다음과 같은 형태의 사람들이 나타난다.

  • 모임 첫 머리에 큰 소리로 자신은 무엇 무엇을 어떤 이유로 안하겠다고 선을 그어버리는 사람.
  • 일년동안 직무유기를 행하면서 정작 일한 사람들이 무엇을 잘못했는지만을 언급하는 사람.
  • 과거 오래전에 자신이 잘 한것을 살짝 언급하면서 자신을 부추켜 올리면서 정작 아무것도 하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
  •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사람. 사실도 아닌 것을 마치 사실처럼 단정해 말해 주위 사람들을 벙찌게 만드는 사람.
  • 현실과 무관하게 얄팍한 지식과 잘못된 의견을 믿고 단정지어 다른 이를 위한 답시고 말하는 사람.
  • 자신이 맡은 일을 무책임한 유치원 어린아이처럼 팽겨쳐 놓고서 무슨 자격으로 앉아 큰 소리로 떠들고 있는지 의문이 가는 사람.
  • 다른 사람이 자신한테 무슨일을 시키는 것 같으면 자신이 시다바리냐고 반응하는 정신이상자.
  • 앞에 있는 짓을 하는 사람옆에서 같이 북쳐주고 장구쳐주는 사람.

이런 무리들의 인도자를 자신들이 돈주고 고용했다는라고 생각하면 친절하게 개무시해버린다.

진실이 죽고, 양심이 죽었을까?  단순히 성격 문제만은 아닌 것 같다.

물론 참석원 다 이렇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대체 성경을 읽고 설교를 듣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하다.

“젊은 자들아 이와 같이 장로(+목사)들에게 순종하고 다 서로 겸손으로 허리를 동이라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겸손한 자들에게는 은혜를 주시느니라 그러므로 하나님의 능하신 손 아래에서 겸손하라 때가 되면 너희를 높이시리라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벧전 5:5-7

비겁한 和의 문화

사람들과 화목하게 지내라라는 말은 성경에서도 나온다 (롬 12:18). 특히 같은 교인끼리는 더 화목하게 지내라는 당부는 매우 많이 나온다. 화목이란 사람들의 기분을 좋게하고 미덕이다. 그러나 화목이 기독교의 최고의 덕목은 아니다. 진리가 더 중요한 것이다. 사람들이 하나님을 잘못알고 예수를 잘못할 고 있으면 바로 알 수 있게 아픔을 겪으면서 까지도 인도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그런대 화목을 진리보다 더 귀하게 여기는 기독교인들이 너무 많다. 특히 삶이 더 풍요로와진 요즈음엔 더 그렇다. 진리는 뒷 자석에 앉혔다.

예수가 어떻게 和목하게 돈 바꾸는 이들을 성전에서 몰아낼 수 있었을까?

자신의 덕과 인품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이는 가를 중요하게 생각했더라면 푸덤직한 웃음을 얼굴에 띄고 털털한 마음으로 “다 먹고 살기 위해 허덕이며 새벽부터 이렇게 노력하는 자들 아닌가? 하나님 아버지도 측은히 여기실꺼야” 하며 융통성 있는 사람처럼 보이며 나름 고난위도의 정치적 및 사회적 지식을 바탕으로 제사장들과 협조와 돈 바꾸는 사람들과의 합의를 이뤄내었을 것이다. 동양을 지배하고 있는和 문화적으로 그린 예수를 생각한다면 이렇게 나온다. 어떤 지혜의 상징으로 되풀이 돼는 고전부터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이런 사람이 존경을 받는 대상이다.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것 같이 들리면서 상대의 기분만을 위해 상황을 모면하는 비겁한 문화이다. 그래서 대화 방법도 윗 사람의 기분을 위한 것으로 상단한 발전이 돼어 있고 일본 같이 和를 신격화 시키는 현상까지 일어나는 것이다.

예수의 이름을공공 장소에서 지켜본적이 있는가? 돌팔매질 안받으면 다행이다. 너 혼자만의 생각을 왜 남에게 억지로 파느냐 부터 시작해서 비논리적인 언론의 자유까지 들먹이며 삿대질을 하는 사람이 앞에 줄을 선다. 그 중에는 스스로 기독교인들이라는 사람들까지 있다. 와서 이런 식으로 예수의 이름을 지킬 필요까지 있냐? 도리어 사람들이 당신 때문에 예수를 믿지 않으려 한다 등까지 예수라는 이름에 증오를 느끼는 사람들을 위한 말을 아끼지 않는다. 특히 한국인 기독교인 많다. 더 현명한 방법이 있다고 한다. 더 지혜롭게 상대방의 기분을 건드리지 않고 예수를 전도하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예수님의 이름이 땅에 밟혀도 사람들끼리 화목한 것이 더 중요한 사람들이다. 이 같은 사람들이 예수님의 이름이 욕으로 나오는 것에 대해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면 마치 무슨 큰 일이라도 벌리는 사람처럼 취급한다. 이런한 비겁한 문화 때문에 일제시대에서도 목숨이 아깝지 않았던 극소수의 예수쟁이들만 빼고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다 일본 천황의 신전을 교회 예배당 안에 모셔두었던 것이다.

예수 귀한 그 이름 이란 찬양을 한번이라도 불렀다면 자신의 이름을 사람들 앞에서 인정하면 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한다면 和를 도모하기 위해 세상의 모든 사람과 타협할 수 있는 비겁한 기독교인이 아니라 진정한 예수신앙을 보이는 기독교인이 되기를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님의 禍를 입게된다.

がまん (我慢) 日本人의 忍耐

한국사람으로 태어나 일본이란 상당한 존재성을 의미한다. 증오의 대상이되기도 하면서 조용히 존경하게 할 수 밖에 없는 대상이되기도 한다. 1970년대 태어난 나에게는 만화를 통해 그리고 미국에 와서는 고등학교에서 일어를 공부하면서 그 후에는 일부러 더 노력하지 않아도 한국인들은 일본을 뉴스를 통해 그리고 여러 다방면으로 대면하게 된다. 알버커키에 와서 검도를 시작해 이제 8년되었다. 일본식 검도이지만 정작 가르치는 사범은 여기 본토배기 나바호 인디언의 자손이다. 그가 과거에 일본을 접하게 되었고 그리고 40여년 동안 검도를 배우며 여기서도 검도르 가르치는 사람이 되었다. 이제 70세를 바라보고 있는 노인이다. 그러나, 검도를 하면서 가끔식 검도세미나나 대회또는 심사를 통해 다른 제미일본인들을 만나고 그들과 가끔식은 깊은 대화를 나누며 한국사람과 근본적으로 어떻게 다르구나 하는 것을 느끼고 배운다. 캘리포니아에서 타오스에 오셔서 방문해 가르치셨던 시카이 선생과 몇몇 검사들과 같이 저녁을 하며 많은 대화에 참여할 수 있었다.  거기서 나왔던 주제를 가지고 시작해 볼까 한다.

がまん

한문은 한국어로 아만이라고 읽는다. 일본문화의 하나의 토대가 되는 선불교에서 나온 단어다. 원뜻은 사실 그렇게 달갑게 느껴지지 않는다. 자신을 높여 남을 낮게 본다라는 뜻. 한층 더 깊이들어가면 자신을 높이여기는 어떤 자존심에 의존해 그 어떤 것도 견딘다는 뜻에 가깝지 않을 까 한다. 아무튼, 원래 현시대의 사용은 일본 섬나라에서 시작한 단어가 아니고 미국에서 사는 일본인들로 인해 시작된 것이라고 한다. 2차대전 중 강제로 억류된 일본계 미국인들이 쓰기 시작한 단어. 그리고 다시 단어를 널리 기억나게 한 것이 바로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사건이다. 바로 인간으로 도저히 견딜 수 없는 것 같은 상황을 견디어 내는 인내를 뜻하는 것이 바로 이 단어인것이다.

그러나, 단어가 최근의 유래가 되었다 해서 일본인들에게 새로 생긴 인내가 아니다. 그들의 문화속에 깊이 뿌리 박혀 있었던 것을 그냥 불교에서 단어를 빌려 쓰는 격이다. 그들의 문화는 사실 오랜 과거의 향기를 품기며 현시대의 꿈꾸는 문화이다. 한국이란 나라는 외부의 침략과 전쟁으로 인해 매우 빨리 현대화되었고 역사의 휘오리바람속에서 과거와의 맥이 끝어진 느낌이 강한 문화로 변해있다. 그 잃어버린 과거를 찾기 위해 역사공부운동이 퍼지고 다시 정리를 하고 있는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맥이 끊어졌던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천황의 명령으로 인해 현대화가 되었고 그 천황의 엄청난 역사적 유산은 지금 상징적으로 그 후손으로 살아 숨쉬며 맥을 잇고 있는 것이다.

어른이 되었다는 것은 힘든 것들을 불평없이 조용히 견디어 내는 것을 뜻한다. 2011년에도 그들이 소리내어 펑펑 울지 않았던 것은 다른 사람들을 위한 배려라는 것에 온 세상사람들이 혀를 차며 칭찬해 했던 것이 아닌가. 그들은 과거의 가치관을 뼈속 깊이 새기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이다. 시카이 사범도 개인적으로 가정에서 매우 힘들었을때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아내에게까지도 힘든 속마음을 보이지 않으며 아내를 위해 고난의 길을 걸었었다. 그리고 그 힘든 시기가 지나고 나서 열매를 맛보는 인생의 진정한 보람을 느끼는 가정사를 엿들으며 부러워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금만 힘들어도 불평을 펑펑 터뜨리고 문을 쾅 닺고 상을 엎어버리고 쓰고 던져지는 휴지처럼 신앙을 버리고 남편이나 아내에게 쉽게 화을 토해내버리는 한국인들. 그에 비해 많은 일본인들은 여자나 남자나 할 것없이 마치 무슨 보이지 않는 거대한 군대에 입대한 사람들 처럼 이런 인내하는 면에서 일관성을 보이는 것을 보면은 경악을 금치 못할 정도다.

이런 사람들을 알면서 주위에 보이는 한국인들을 보면 챙피할 때가 있다. 대부분은 십자가에 피를 흘려 죽으신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이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일본인들은 불교적인 고난의 행군을 걷는 삶을 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어둡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은 고난속에 기쁨을 발사할 수 있지 않는가?  진정한 그리스도인에게는 이러한 인내 쯤이야 식운 죽 먹기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더 나가 고난속에서 웃으며 찬양하고 기뻐할 수 있는 것이다.

Preparing an oatmeal breakfast

  1. Boil a cup (or little more) water to bubble (ratio: 1:2 oats-to-liquid). I usually use a cup of water with a half cup of oatmeal.
  2. Add a bowl of rolled raw oatmeal and bring the heat down to LOW for simmering.
    1. Add a pinch of salt and other powdered spices
    2. Wait 5 minutes (swirl every minute or so with a wooden spoon so they don’t stick to the bottom) – time can vary depending on your heat and the size of the pot
  3. Serve it in your favorite bowl
  4. Add your poison mix, milk, and toppings. Just don’t over do anything.
  5. Enjoy

Notes to have it stay healthy:

  • A half-cup of oatmeal is considered to be 1 serving (150 cal)
  • Instead of sugar or honey, try  cinnamon, (unsweetened) cocoa powder, or vanilla extract
  • Use fresh or frozen fruit rather than dried fruit (they have more calories)
  • Don’t overdo sweets or nuts

Some recommendations for topping:

  • Apples, raspberries, blackberries, blueberries, banana
  • Walnuts, pecans
  • Kimchi (probiotics!)
  • Fried or boiled egg (protein!)

Pastor Shaan Sloan’s website

Pastor Shaan Sloan is a teaching pastor at Heritage Christian Fellowship church, which I had privilege of being a member for nearly 6 years before I joined a local Korean church. His website is http://heavenslight.org and it has a ton of Bible study materials that are easy to read and access.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anyone who is looking for an accessible material on the Bible.

安時 2017-10-05

C. 롬 5:12,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먼 조상 아담와 하와로 부터 죄를 질 수 있는 성향을 가지고 태어났다. 성향이란 어떤 부도덕한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나의 삶의 주인이 되고 하나님이라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즉 나의 삶의 대한 나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죄의 근본적인 성향이다.

예수님은 원죄를 물려받은 것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으셨다. 물려받은 것에 대해 정죄하지 않으셨다. 오로지 구원자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지 않고 그렇게 살 지 않는 순간 부터는 우리는 심판에서 벋어나지 못하게 된다.

그 정죄는 이것이니 곧 빛이 세상에 왔으되 사람들이 자기 행위가 악하므로 빛보다 어둠을 더 사랑한 것이니라 (요 3:19)

A. XXV. 모두 평강을 원하지만 진정한 평강에 이루게 하는 것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른 그 어떤 것보다 주를 기쁘게 하기에 전념을 다하는 것이 평강의 길이다.

골 1:9-14

9 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10 주께 합당하게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 하시고
11 그의 영광의 힘을 따라 모든 능력으로 능하게 하시며 기쁨으로 모든 견딤오래 참음에 이르게 하시고
12 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13 그가 우리를 흑암의 권세에서 건져내사 그의 사랑의 아들의 나라로 옮기셨으니
14 그 아들 안에서 우리가 속량 곧 죄 사함을 얻었도다

주의 이름에 합당한 삶을 사는 하루게 되게 인도하여주소서. 오로지 주의 은혜속에서 주의 이름을 잊지 안으며 한 순간 한 순간 감사로 예배를 드리는 자가 되게 하여주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下心

하심 (下心) – 수도인들이 가져야 할 자세

수도자가 그 경지가 높거나, 가르치는 위치에 있다 하여 권위를 세우려고 하면,
권위주의가 되고, 여러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불일치를 부른다.

그래서는 도법을 전하기가 어렵다.

권위는 남이 세워주어야 한다.
상대방이 나이가 많을 때 에는, 연배에 맞는 대접을 해주고,
상대방이 어릴 땐 인격을 존중해 주어야한다.
곧, 상대방을 인정해 주고 배려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도(道)를 공부하는 사람의 기본이다.
상대방의 나이와 인격을 존중하는 것은 또한 수도인의 기본이다.

도(道)나 석문호흡법에 있어서는 근엄하고 신념있게 해도 되지만,
그 외의 모든 부분은 상대의 연륜과 인격을 인정해야 한다.
나도 나이가 비슷하면 평소엔 친구처럼 지내고,
도장을 이끌어 가거나, 가르칠 때 만 스승처럼 한다.

도(道)를 가르칠 때만 스승이었다.

회원들에게 석문호흡을 가르칠 때만 스승처럼 하고,
평소에는 마음 속에서도 예의 바르게 상대를 대하여야 한다.
평소에도 절대 권위를 찾으려고 하지 말라.
권위는 내가 세우는 것이 아니라 남이 세워주 는 것 이다.

공부를 가르칠 때는 양보가 없어서 수염난 할아버지처럼 가르칠 수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배우는 자세로 가르쳐 달라고 해야 한다.
배울 때는 배우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상대방이 자기보다 잘하는 것이 있으면 배워야 한다.
모르는 걸 배울 때는 부끄러운 게 아니므로 망설일 이유가 없다.
수련경지가 낮아도 나이든 분은 존중해야 한다.
모든 분야에서 많이 아는 듯이 남위에 군림하려 하면 삐딱한 마음이 되어 공부하기 어렵다.

난 찻집에 가면 차 이야기를 하는데,
비록 내가 잘 알지만 차 이야기를 듣는다.
한마디 던져서 녹차 파는 집에서 들을 자세를 가지고 있으면 이야기 해주지만
엉터리 이야기면 분위기 망칠 필요 없이 이야기를 들어준다.

하심(下心) 은 수도인(修道人)에게 진정으로 필요하다.
사업하는 사람은 장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라도 기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마음에선 진심으로 안 되도 표면적으로는 하심을 한다.
이렇게 하면 사회생활을 무리 없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자(修道者)는 걸리는 것이 없어서 굽힐 필요가 없다.
그래서 사업 사는 사람보다 더 하심(下心)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자기가 아는 것에 대해서는 어필(appeal)하고 주관을 펼 수도 있지만,
수도자 생활을 올바로 하려면 하심(下心)해야 한다.

수도자(修道者)는 선도수련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나머지 분야는 설사 내가 많이 알아도 가르쳐 달라고 하는 것 이 좋다.
나이를 무시하면 예의 없는 도인이 된다.

내가 합기도 사범생활을 할 때,
선배가 2 단 옆차기를 가르쳐주면 할 줄 알아도 모르는 척 하고 선배보다 조금 못하게 했다.
그러면 선배 입장에선 소질 있는 후배로 본다.
이것은 삶의 방법론이고 처세술이라고 할 수 있다.

평소에 도반들과 대화해서 선도(仙道)에 대한 이해를 높여 놓는 것이 필요하다.
수도자들이 “이 수련은 혼자 하는 수련이야” 하면서 후배들을 방치하면 안 된다.
서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흥미를 돋우어 주고… 도의 깊이를 조금씩 알려주고…
“차 한잔 하시죠” 하고, 먼져 다가가는 것도 때론 필요하다.

스스로가 어떤 생각을 갖느냐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그러한 마음 바탕을 지니고 있으면,
마음속에 지니든, 행으로 옮기든, 분위기가 온화해진다.
수도자들, 즉 도반들 사이에서 이심전심(以心傳心)이 된다.
수도하는 도반들은 친해지되 서로간에 (스스로가) 예의를 지켜야 한다.
주위 사람에게 재미있는 사람으로 기억되어야 한다.
권위, 지위 모두 버리고 내가 가르쳐 줄 수 있는 것 가르쳐 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수련지도 잘 해주고, 도움 주고 도움 받고 하면서 재미나게 도장을 운영해야 한다.
권위는 자기가 세우는 것이 아니라 남이 세워주는 것이다.
또한 작은 것을 고마워해야 한다.
가령, 주변 사람이 음식을 살 때, 아주 고맙게 먹어야지
당연하게 받아들이면 점점 미묘한 분위기가 된다.
이심전심(以心傳心) 되어 대접 하는 사람은, 갈수록 대접하기가 싫어진다.
형체 없는 언어 – 고마운 마음이 습관화되어야 한다.
이 세상에서 남에게 신세를 지는 것은 큰 복이다.
작은 것을 잊지 않아야 큰 복을 받게 된다.

수심이 안되면 양신 단계에서 걸린다.
주위에 베풀어야 한다.
수도자들이 범하기 쉬운 잘못은 보시(普施)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경계하라. 간사해지지 않도록……
조그만 것에 감사해야지,
그 가치의 적고 많음을 보지말고,
똑같은 정성으로 생각해야 한다.
눈에 띄지 않는 작은 것 에 감사해야 한다.
아주 사소하게 작은 것 일 지라도,
도움을 받았다면, 감사의 마음을 가질 줄 알아야 한다.

[출처] 하심 (下心) – 수도인들이 가져야 할 자세 |작성자 하얀바위

 

 

日語: だんしゃり (断捨離)

A recent word referring to the trending idea of minimal life.

Cutting off (断) the unnecessary, throw away (捨), and get out (離) of being attached to things. Started circa 2010. The actual words originated from Hinduism, specifically from practices of yoga.

불필요한 것을 끊고(断), 버리고(捨), 집착에서 벗어나는(離) 것을 지향하는 정리법[삶의 방식, 처세술]. (단사리, 단샤리)

요가의 행법인 단행(斷行), 사행(捨行), 이행(離行)이라는 사고방식을 응용한 것으로, 인생이나 일상생활에서 불필요한 것을 끊고, 버리고, 집착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가볍고 쾌적한 삶을 살고자 함.

잠깐의 비

멀리서 천둥이 우르릉거리고 지붕에 다다닥거리며 비가 오기 시작했습니다.

답답함을 풀어줄까해서 입고 입던 짧은 바지를 벗고 속옷만 입고 뒷 마당에 뛰어 나갔습니다.

그러나, 지나가는 비 구름이었을 뿐.

마음을 후련하게 씻어 줄 소낙비는 온데 간데 없고 그냥 보슬 보슬 내리는 비였습니다.

안경을 쓰고 있어도 저 멀리 도시의 불빛들은 또렸하게 보였습니다.

잠깐 지나가던 작은 비구름을 원망할까

얼른 바지를 다시 입고 시원한 공기에 감사하며

다시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安時 2017-09-05

CWatch with me. 너희가 나와 함께 한 時 동안도 이렇게 깨어 있을 수 없더냐? (Matt. 26:40)

우리는 주님이 우리와 함께 하는데만 익숙하지 우리가 주와 함께 하기에는 익숙치 않다. 항상 우리와 함께 하시는 주님. 임마누엘의 하나님. 그러나, 항상 함께 해주시는 하나님께서 잠시 만이라도 함께 해 달라고 하시면 우리는 한 時도 못버티고 잠에 들어버린다. 주의 관점보다는 우리의 관점. 주와 같은 정체성을 찾기보다는 우리의 정체성을 찾기위해 특별히 긴 시간의 인생을 소비한다. 우리의 작은 머리로는 不測한 주님. 주와 함께 한다는 것은 믿음의 실행이다.

우리의 자연적 한계로서는 사도들과 같이 잠을 자고 주가 어떤 목적을 이루는 것과는 전혀 무관하게 주께서 이해할 수 없는 상황으로 들어가실때는 우리는 그를 버리고 사도들과 같이 도망을 간다.  우리가 가진것으로 주님과 함께하기라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래서 주님께서 약속하신 것이 있다:

오직 聖靈이 너희에게 臨하시면 너희가 權能을 받고 … 내 證人이 되리라 (행 1:8)

한국어 인터넷문자 자료의 문제성

오래 전 수년동안 한/영 번역을 하면서 느낀 점을 글로 옮긴 적이 있다.  어떤면에서 일관성이 없어 불편함 점들을 요약해 쓴 글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요즈음 인터넷에 있는 한국어 자료들을 조금 더 많이 대하면서 느끼는 점인데 문서 기록 구성 방식을 존중하지 않고 개인의 취향대로 기록을 하고 문서형태를 바꾼다는 것이다. 같은 전자식 형태이기때문에 비유한다면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워드 사용시 탭을 사용하지 않고 스페이스를 여러번 눌러서 들여 쓴 자리를 만든다거나 혹은 문서 여백을 조정해 바꾸기 보다는 그냥 줄 마다 엔터를 처서 오른 쪽 문서의 선을 맞춘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전자 문서 편집에 대한 무식이다. 이러한 비슷한 문제가 인터넷에 너무나 많이 있다.  네이버나 다움또는 어떤 플랫폼에서 그런 것들을 부추켜주는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너무 많이 본다.  예를 들어 문장마다 끝에 엔터를 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옛 인쇄시대에 더 익숙했던 첫 줄 단락 여백을 만들어 주기 까지 한다. 내용과 그 내용을 제시하는 스타일의 구분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DTP (전자출판)에 익숙하신 분들은 이런 것을 잘 이해한다. 그리고 문서작성을 어느 정도 배우신 분들도 이런 것 정도는 기본으로 알고 있을 것 같다.

전자 문서 제작시, 그것이 이메일이나 문서작성이든 다음과 같은 지침을 제시해 본다.

  1. 여백을 만들때 스페이스는 스페이스 바(Space bar)로 만들지 말라.

    HTML도 문서처리시에도 스페이스는 완전 무시된다. 예를 들어 일부러 어떤 여백을 만들기 위해 스페이스를 바를 사용해 20칸을 만들었다 하자.  그것은 1칸으로 간주되어 버리며 웹상으로 볼때 19칸은 보이지도 않는다.과거의 편지 및 문서 형태에서 단락의 첫 줄에서 스페이스를 준다.  위에 언급했듯이 웹상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1칸으로만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페이스보다 단락을 시작할때 엔터키를 두번 처서 두 줄로 만든다.

  2. 줄로 여백을 만들라.

    과거의 편지 및 문서 형태에서 단락의 첫 줄에서 스페이스를 준다.  위에 언급했듯이 웹상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1칸으로만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페이스보다 단락을 시작할때 엔터키를 두번 처서 두 줄로 만든다. 줄로 여백을 주는 것이 눈에도 더 편하다.

    제삼의 눈은 또한 인도의 힌두교에서 말하는 시바의 눈(The eye of Shiva)과
동일시된다 인도의 시바신은 호루스 신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신이다
뉴에이저들은 이 시바신의 눈이 인간의 이마에 있다고 주장한다.
    시바신의 눈이 있는 지점은 차크라(뉴에이저들이 주장하는 것으로 인간에게
있는 일곱 개의 에너지 중심) 가운데 아즈나 차크라(Ajna Chakra)에 해당된다.
뉴에이저들은 아즈나 차크라는 왕관 차크라라고 하는데 머리의 정수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뇌의 상부와 오른쪽 눈을 지배한다고 하면서 이 차크라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신과의 일체화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 이보다는 …

제삼의 눈은 또한 인도의 힌두교에서 말하는 시바의 눈(The eye of Shiva)과
동일시된다 인도의 시바신은 호루스 신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신이다
뉴에이저들은 이 시바신의 눈이 인간의 이마에 있다고 주장한다.

시바신의 눈이 있는 지점은 차크라(뉴에이저들이 주장하는 것으로 인간에게
있는 일곱 개의 에너지 중심) 가운데 아즈나 차크라(Ajna Chakra)에 해당된다.
뉴에이저들은 아즈나 차크라는 왕관 차크라라고 하는데 머리의 정수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뇌의 상부와 오른쪽 눈을 지배한다고 하면서 이 차크라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신과의 일체화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1. Enter 를 처서 문단을 자르지 말라.
  2. 밑에 출처를 확실히 하고, 출처 날짜도 포함하라.

    학계에서 논문이나 글을 쓸때는 인터넷 출처 날짜는 기본이다.  1998년 출처한 인터넷 문서가 2017년에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인터넷 자료를 자동 저장하는 전자창고에서 날짜를 알면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링크만으로는 다시 찾기가 어렵다.

  3. 예시를 포함할때는 환경의 대한 내용도 포함하라.

    어떤 컴퓨터 환경에서 어떤 플렛폼으로 어떤 콤파일러를 썼는 지 아무런 언급없이 예시만 올리는 사람이 많다.  JavaScript 과 같이 표준화된 고급언어를 사용시 언급이 필요하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겠지만 JavaScript 도 더 깊이 들어가면 V8, Spidermonkey, Chakra 와 다른 엔진의 syntax 가 달라지게 마련이다.

Knowledge without the guidance of morality

… is like a nuclear weapon with no restraint.  We probably ne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direction of knowledge, which is usually guided by a sense of morality in humans than simply allowing machines to obtain knowledge without such guidance system.

But it is the spirit in a person, the breath of the Almighty, that gives them understanding. It is not only the old who are wise, not only the aged who understand what is right. – Job 32:8-9

Recognition of a stop sign with a Post-It note

RE: WIRED article, EVEN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HAVE EXPLOITABLE ‘BACKDOORS’

The current visual system is a dumb visual recognition system that mostly sees the world in 2D.  The depth percep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layers of things in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the subject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current models. There are phones equipped with infrared-ray sensors for this very purpose.  Google’s 3D-sensing Tango project is another example. However, a visual recognition system seeing a stop sign with a Post-It note and recognizing it as a speed limit sign is a huge problem for the current models.  I think this is another reason why we need to fundamentally reconsider presuppositions about how a typical neural net works.  Just like the late introduction of epigenetics, there is more involved than just synapses, and neurons.

The current models deal with images fixed in time.  The input data is usually too flat, so the incoming data needs to be amalgamated with more metadata to make it multi-dimensional. A parked car at a certain location is a car, but once it leaves the parking lot at one point, the image is now back to parking lot.  Current models do not account this as a “missing” car.  Likewise, the Post-It note should be recognized as an “appended” object to a pre-existing object in a time past. Human visual system would not be able to recognize anything if it did not scan constantly, or things were static and not moving.  There’s also a factor of expectation as we anticipate in motion.

One of the simplest solution to the stop sign issue could be to train the system to pull out the best expected target, and deal with the delta between the actual target and the expected target.

安時 2017-8-30

요 8:42-51

주님은 自稱(자칭) 하나님의 말씀의 살아있는 顯顯(현현)이라고 하신다. 主의 말씀을 들을 줄 알지 못하고 믿지 아니하는 것은 무슨 믿음이 부족해서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이유를 말씀하신하고 계신다. (1) 아비 마귀에게 났음 (2) 마귀의 욕심을 따라 행함 (3) 마귀의 거짓을 믿고 삶

(1) 났다라는 것은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 마귀의 것을 숭상하고 받들어 올려 살고 있다는 것.  마귀의 사상과 이상과 가르침을 기준으로 하고 사는 삶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대립되는 그 모든 것을 말하고 있다.

(2)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 (요일 2:16).  인간의 썩은 마음에서 부터 우러나오며 마귀가 이를 이용해 자신에게 오게하여 지옥으로 고피를 달고 끌고간다.

(3) 진리를 듣지도 알지도 믿지도 못하게 하는 재일 큰 이유는 마귀의 거짓을 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C. “내가 너희에게 뱀과 전갈을 밟으며 원수의 모든 능력을 제어할 권세를 주었으니 너희를 해할 자가 결단코 없으리라 그러나 귀신들이 너희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기뻐하지 말고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 하시니라” 눅 10:19-20

주를 위해 내가 무엇을 한것을 기뻐하지 말고 하나님과 바른 관계에 있는 것을 기뻐하라는 말씀이다. 사람들은 흔히 하나님께서 어떻게 어떻게 쓰임을 받았는 것에 비중을 두고 세상과 별반 다른 것 없이 어떤 큰 업을 남기는 것에 더 중점을 둔다. 그래서, 빌리 그래햄같이 하나님께서 크게 쓰임을 받은 사람을 우상화의 수준으로 높이 취급한다.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든지 상관없이 하나님께서 구 분의 뜻을 이루기 위해 그곳에 두 신것이다. 자신의 서비스에 비중을 두고 항소할려는 사람들이 교회안에서 제일 위험한 사람들이다. 하나님을 위해 어떤 큰 업을 남길려는것보다 하나님의 이름을 빌려 큰 업을 남기려는 의도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런 의지가 배경에 깔려있다는 것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이른 것도 어떤 큰 업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이런 서비스 중심으로 말하자면 하나님 앞에서 예수님이 제일 큰 실패자인것이다. 성도의 진정한 가치는 주님과의 관계에서 주님이 나타나는 것이지 성도의 서비스에 있지 않다. 상업주의 능력주의 학벌주의로 교회를 이끌어가는 마귀의 자식들을 경계하라.
A. XXIII. 마음에 큰 평화를 주는 4가지.
(1) 자신의 의지를 펼치기 보다는 다른 이의 의지를 행하기에 힘쓰라.
(2) 항상 많은 것보다 더 작게가지기를 추구하라.
(3) 낮은 곳을 찾고 다른 모든 사람들의 아래에 있어라.
(4)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를 항상 기도하라.
마음에 번뇌가 많아지고 걱정과 근심이 많아질때는 이 4가지 중 하나라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 반대되는 것을 살펴보자.
(1) 자신의 꿈을 이루고 자신이 원하는 것에 모두 올인하라.
(2) 자신의 것을 축척하고 더 많은 것을 쌓아라.
(3) 경쟁에서 지지않기 위해 남보다 자기개발을 통해 앞서야하고 위에 있어야 한다.
(4) 자신의 뜻을 이루기위해 주야로 힘써라.
세상의 만연한 가르침이 얼마나 그리스도의 도에 멀어져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그런것들을 따르면서 현대인들은 항상 왜 자신의 내면에 불안이 가득차 있는지 모르고 있다.
주님, 욕구불만으로 가득찬 나의 마음을 주님 앞에 내려놓습니다. 인간적인 정욕을 주앞에 내려놓게 하시고 오로지 주의 뜻을 이루는 주의 그릇이 되게 하시고 번뇌로 힘든 이 마음을 주의 평강으로 채워주소서.

People aren’t changing? 사람들이 바뀌지 않는가?

답답하다.  주위 사람들이 바뀌지 않는 것 같으면, 더 나아지는 것 같지 않으면 그러나 그 이유는 다름 아닌 나라는 것.

율곡의 자경문(自警文) 中

一家之人不化 只是誠意未盡
일가지인불화 지시성의미진

즉 한 집안 사람들이 변화하지 아니함은 단지 나의 성의가 미진하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다. 나 때문이다.

It’s stifling sometimes to see how people are so resistant to change towards better, but the reason for that is none other than myself.

Here’s a line from Yi I‘s Self-Reflection (自警文)

一家之人不化 只是誠意未盡

The reason that my family member does not change for better is only because there is a lack in my sincerity of effort.

There is no other reason for it. It’s because of me.

安時 2017-8-24

요 4:43-54
이틀이 지나매 예수께서 거기를 떠나 갈릴리로 가시며 친히 증언하시기를 선지자가 고향에서는 높임을 받지 못한다 하시고 갈릴리에 이르시매 갈릴리인들이 그를 영접하니 이는 자기들도 명절에 갔다가 예수께서 명절중 예루살렘에서 하신 모든 일을 보았음이더라 예수께서 다시 갈릴리 가나에 이르시니 전에 물로 포도주를 만드신 곳이라 왕의 신하가 있어 그의 아들이 가버나움에서 병들었더니 그가 예수께서 유대로부터 갈릴리로 오셨다는 것을 듣고 가서 청하되 내려오셔서 내 아들의 병을 고쳐 주소서 하니 그가 거의 죽게 되었음이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는 표적과 기사를 보지 못하면 도무지 믿지 아니하리라 신하가 이르되 주여 내 아이가 죽기 전에 내려오소서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라 네 아들이 살아 있다 하시니 그 사람이 예수께서 하신 말씀을 믿고 가더니 내려가는 길에서 그 종들이 오다가 만나서 아이가 살아 있다 하거늘 그 낫기 시작한 때를 물은즉 어제 일곱 시에 열기가 떨어졌나이다 하는지라 그의 아버지가 예수께서 네 아들이 살아 있다 말씀하신 그 때인 줄 알고 자기와 그 온 집안이 다 믿으니라 이것은 예수께서 유대에서 갈릴리로 오신 후에 행하신 두 번째 표적이니라

왕의 신하가 예수님께 아들을 살려달라고 하지만 예수님께서 냉담한 반응을 보이신다. “표적과 기사를 보지 못하면 도무지 믿지 아니하리라.” 만왕의 왕에게 우리또한 얼마나 조건을 걸고 믿고 있는가? 구약의 Gideon 이 하나님을 시험하는 것 처럼 우리또한 어떤것에 대한 조건을 걸고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내 뜻대로 내가 원하는대로 해주시면 믿고 그렇지 않으면 도리어 화를 내며 하나님을 믿지 않는 참으로 우스꽝 스러운 관계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거룩하신 하나님앞에 감히 누가 설 수 있는가? 사실 죄로 인해 항상 악한 생각만 하는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은 죽음뿐이다. 댐같이 나의 욕심과 정욕으로 가득차 있는 인간의 마음에 자신을 창조하신 하나님께서 임제할 자리도 없는 것이 인간아닌가? 지렁이보다 못한 인간을 어쩌면 그렇게 사랑하사 십자가위에 몸을 던지셨던 말인가?

신하또한 그런 조건적인 믿음으로 예수님에게 접근을 했던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측은히 여기셔서 간구를 들어주시는 예수님. 예수님의 말씀만을 붙잡고 믿음으로 집으로 돌아가던 아버지. 주여, 주께서 무엇을 주실 것을 바라며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주를 바라며 살게 하여주소서.

 

C. 아들이 빵을 달라고 물으면 어느 아버지가 돌을 주겠느냐? 마7.9

아들이 아버지와의 관계에 소홀하고 아버지를 예의없이 대하는데 어찌 감히 아버지께서 마구 무엇을 달라고 짜증을 내면서 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항상 이런 짓을 하고 있다. 관계 상태는 전혀 생각하지도 않고 평화를 달라고 안정을 달라고 기도의 응답만을 요구하고 있다. 타종교의 미신을 믿으며 날마다 복을 위해 기도하는 이교도들과 무엇이 다른가 말인가? 다른이에 죄를 용서하지 않으면서 용서를 간구하고, 다른이에게 친절과 자비를 배풀지 않았는데 자비를 간구하며, 의로운 생활을 하지도 않았는데 하나님의 의를 만년 구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말인가? 종이위에 입으로 내가 무엇을 믿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神 앞에서 내가 과연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 가가 더 중요한 것이다. 기도는 어떤 감정만의 표현이 아니고 무슨 신비로운 것도 아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로 살고 있지 않으며 그 어떤 기도도 소용이 없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과의 불편한 관계, 좋지 않은 가치관으로 생긴 빚, 그리고 내 맘대로 성질낸것들. 교회서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잘 차려입고 영적으로 신비한 기운을 내뿜는 것처럼 아니면 잘 내외로 갖춰진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것은 쉬운 것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의 마음을 깊숙히 다 보고 계신다.

A. XXII. 자신의 내적 빈곤함과 얼마나 자신이 하찬은 사람인지 깊이 느낄 수록 평안을 찾고 기뻐할 수 있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약한 것과 심령이 가난한 사람과 이 세상에서 낮은 자에게 눈을 돌리시며 그 들을 올리시기 때문이다. 높은 자리에 앉아 마음이 교만한 자들은 하나님께서 낮추신다. 심지어 동양의 역사에서도 의와 정의를 위해 핍박을 받았던 자들의 이름들이 기억되고 있으며 존귀함을 받고 있지 당 시대 부와 특권을 누리며 악을 행했던 자들의 이름이 기억되고 있지는 않는다. 세상이치도 이러한데 하물며 하나님을 믿는 자들이라 다르겠는가? 의라는 개념자체위에 계시며 온전하며 완벽한 의를 표출하시는 하나님을 위해 핍박을 받는 다는 것은 의만을 위해 핍박을 받는 자보다 더 존귀한 자리에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에게는 과분할 정도로의 영광인 것이다. 그 어떤 것도 아닌 왕중의 왕 창조주 하나님의 이름을 위해 핍박을 받는 것. 왕을 위해 목숨을 다한 과거의 사신들은 불온전한 인간 왕들을 위해 목숨을 다했기에 왕이 불의한 사람이었으면 아무리 신실했던 사신이라 한 들 왕의 의를 넘지 못한 것. 우리는 완벽한 왕을 섬기는 사람들이다. 이 보다 더 큰 평강이 어디 있겠는가. 이를 위해 목숨을 버린다 해도 아깝지 않는 왕이다. 그 섬긴 안에 기쁨이 있는 것이고 우리의 섬김의 대상이 누구인지 더 깊이 알면 알수록 그 은혜와 기쁨이 넘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주의 의와 사랑과 영광이 먼저가 되게 하소서. 주께서 주시는 그 어떤 축복보다 주만이 나의 평강이 되시고 주만이 나의 기쁨이 되시고 주만이 나의 영광이시나이다.

安時 2017-8-23

Chambers

“When thou prayest, enter into thy closet, and… pray to thy Father which is in secret.” Matt. 6:6

기도를 할 때 아무도 없는 곳에 가서 기도하라고 한다. 기도는 노동이라는 말이 있다. 의식적으로 해야하는 것이기에 그런 말이 나온 것 같다. 혼자 기도할 때 잡념이 문제이다. 儒家의 율곡 이이도 거경(居敬), 궁리(窮理), 역행(力行)의 가르침에서도 잡념이란 아무리 좋은 생각이라도 때가 아닌 생각을 잡념이라고 가르쳤다. 잡념을 이기는 방법은 잡념을 싫어하게 되는 마음까지도 잡념이라 간주되니 가볍게 여기고 그냥 지나가야 한다는 것. 새가 날라와 머리위에 똥을 싸고 둥지를 지게 하지 않으면 된다. 의외로 쉽지만 의식적으로 나의 생각을 다스리지 않으면 잡초처럼 뿌리를 내리게 된다. 이런식으로 discipline of the mind, 아니면 정신적 훈련이란 매일 같이 반복해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다. 외부에서 들려오는 시끄러운 소리들, 그 만큼 우리의 내부를 자극시키는 것들이 많으므로 이런 훈련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필수인 것이다.

장농에 들어가 문을 닫아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가 스스로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위에 계시다. 비밀리 계시는 곳의 하나님을 찾아가야 한다. 그곳에서는 나의 감정이 나를 조종하지 못하게 내적 잡음에서로 부터도 문을 닫고 들어가야 한다. 바로 하나님의 임제의 장소, 지성소이다. 예수님은 눈을 뜨자마자 아무도 없는 곳을 찾아 이 지성소에 들어가 하나님의 임제속에 거하시며 기도하셨다. 이런 기도 생활이 유지되고 하나님의 임제속에 거하는 생활이 기본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이다.

A’Kempis, XXI

儒家의 大學의 세가지의 가르침 중 한가지가 인품을 갖춰 그 위에 쉼을 찾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내 안에서의 아무리 좋아보여도 내가 만든 허상위에 쉼을 찾는 것이 아니라 나를 내려놓고 온전한 인격체이신 하나님안에서 쉼을 얻는 것이다.

주님이 주시는 선물들보다 주를 갈망하나이다. 온전하시고 최고가 되시는 주여. 주가 아닌 그 어떤 것이에서도 안식을 찾을 수 없나이다.

주께서 은혜로 임제하시기 전까지는 나는 그 어떤 평안도 찾지 않을 것이고 기도를 중단하지 않을 것이나이다.

이 地上의 최고의 것도 하나님과 비교해서는 아무것도 아니옵니다.

나의 입, 영혼, 그리고 온 만물이 다 주를 찬양하리이다.

요 3:9-21

  1. 니고데모가 대답하여 이르되 어찌 그러한 일이 있을 수 있나이까
  2. 예수께서 그에게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의 선생으로서 이러한 것들을 알지 못하느냐
  3.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우리는 아는 것을 말하고 본 것을 증언하노라 그러나 너희가 우리의 증언을 받지 아니하는도다
  4. 내가 땅의 일을 말하여도 너희가 믿지 아니하거든 하물며 하늘의 일을 말하면 어떻게 믿겠느냐
  5. 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느니라
  6.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7.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8.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9.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10. 그를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요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의 독생자의 이름을 믿지 아니하므로 벌써 심판을 받은 것이니라
  11. 그 정죄는 이것이니 곧 빛이 세상에 왔으되 사람들이 자기 행위가 악하므로 빛보다 어둠을 더 사랑한 것이니라
  12. 악을 행하는 자마다 빛을 미워하여 빛으로 오지 아니하나니 이는 그 행위가 드러날까 함이요
  13. 진리를 따르는 자는 빛으로 오나니 이는 그 행위가 하나님 안에서 행한 것임을 나타내려 함이라 하시니라

궁극적으로 구원을 받는 자는 진리를 보고 진리로 나와서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서 영접하는 자이다. 진리를 멀리하게 하는 것은 악이다.  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악의 결과이며, 믿음으로 영접치 못하게 하는 것은 지옥의 문턱에 온것이다.

安時 2017-8-22

Chambers. “I indeed baptize you with water…but He… shall baptize you with the Holy Ghost and fire.”  Matt 3:11

나의 끝이 하나님의 시작이다. 나의 것이 나의 자아가 조금이라도 살아 있으면 내면에서 역사하지 않으신다.  나의 것을 온전히 내려놓고 완전히 양보 했을때 그 순간부터 역사하시고 축복의 길로 인도하신다.

A’Kempis.

…fondness for evil pleasures overcometh the mind of him who is addicted to the world; and he esteemeth it a delight to be under thorns, because he hath not seen or tasted the sweetness of God, and the inward pleasantness of virtue.

…they who perfectly despise the world, and study to live to God under holy discipline, these are not ignorant of the divine sweetness promised to those who truly forsake the world; they also very clearly see how grievously the world is mistaken, and how it is in many ways deceived.

세상의 기준이 하나님의 기준과 대립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세상을 따르는 자는 하나님의 것과 대립하게 되고 하나님의 것을 따르는 자는 세상과 대립하게 된다. 마음을 다지고 하나님의 것을 담대히 받고 행하라.

安時 2017-8-21

Chambers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We can be taken up with the issue of volition, or on the overt emphasis of what we do with our time, talent, and resources. Being poor in spirit is not something that is easily noticed, and yet the seemingly passive state of being–in need–is the condition for God’s blessings.

We’re way too armed with ourselves, for our future.  We need to lay down our arms.  우리는 자신을 위해 미래를 위해 너무나 많은 무장을 하고 있다.  우리의 무기들을 내려놔야 한다.

A’Kempis

인간은 자신의 고통이 크다고 느낀다. 그리고 나의 고통이 더가깝고 아프고 重한 고통이고 지금과 같이 개인주의가 만연한 시대에서는 남이 더 큰 고통을 느끼거나 말건 상관이 없다. 타인의 고통의 소리에까지 진저리를 친다. 남의 고통의 소리는 자신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오디오일뿐. 그저 내가 개인적으로 다른이의 고통을 초래하지만 않으면 괜찮다는 의식으로 변했다. 이런 상태에서 남이 나에게 타당치 않은 것으로 고소를 했거나 거짓 증거를 하는 것 같으면 도저히 참지를 못한다. 자신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든 사람에게 당하고는 절대로 살지 못한다.  그러나…

자신이 불리한 상황속에서 남자답게 담대히 타인에게 더 미련한 사람에게 밟힐 각오를 가지고 사는 사람이 신앙인이 아니었는가.  忍으로 부름을 받은자 아닌가 (고전13).  우리의 싸움은 우리를 직접 괴롭게 하는 자들과의 싸움이 아니고 자신의 고통만을 보게 하고 자신보다 더 큰 고통을 겪는 이들은 생각조차하게 하지 않는 고체된 마음 상태이다. 자신밖에 보이지 않는 이기주의, 극적인 나르시시즘의 표출일 뿐이다. 이런 싸움없이 어찌 승리가 있겠는가? 이런 노력없이 어찌 심적 평안을 찾을 수 있겠는가?   神을 위해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받고 밟히고 어려움을 겪는 것은 영혼을 위한 高度의 영양분이다.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남자답게 싸워이겨 나가라.

List of One Thousand Characters completed (천자문, 千字文 수록 끝)

천자문 한자 풀이와 설명 모집이 이제 끝났다.  1년 넘게 조금씩 해오다가 절반 이상을 다음 수업 시작하기 전에 한꺼번에 다 끝내 버렸다.  링크는 여기에.

I’ve completed the list of One Thousand Characters including all of the available, sound explanations in Korean.  I’m not sure how much of English translations I will be able to provide, but I’m thinking of completing it very slowly.  I have been completing little bit at a time, and then I’ve gone ahead and finished more than half of it before the start of a class next week.  You can find the listing here.

Contrasting foundations for morality (대조되는 도덕의 정의)

— English

In the West, the classical philosophers, post-Christianity, thought of morality as a core part of virtue in reflection of the belief of imago dei.  However, in the East Asia, the morality is now more often seen as a part of statecraft, a code only intended to make people more obedient to their rulers. This Machiavellian juxtaposition of Confucian ideals has been tacitly accepted by the populace, and I think that i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social changes have been so swift. Without a full appreciation for Confucianism as a theory, ignorant progressives have done much to throw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Social changes are often hinged by a philosophical, and referential, position that society holds to, and the fact that Asian countries seem to have been following the West, almost mindlessly, without due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moral implications (but accommodating to Western influences under the banner of progres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raditional views have been heavily labeled as being backward and generally antithetical to any progress in all aspects of life. This was sparked by Meiji Reformation in Japan, which happened among a people-group living in an island long oppressed by self-doubt about its own identity and self-worth, always compared against the continental culture.

As seen in Korea, it doesn’t help that most of classical literature were written in hanja and the disciplines of philosophy or classical literature is simply marginalized as being “non-productive” discipline. This kind of trend is deeply troubling, given the fact that young people are increasingly adopting materialistic view of life, whilst studying hard in philosophical disciplines, which was a harsh experience for them when they had to memorize in a rote fashion to pass a test.  Knowledge without seeing no relevance to their lives has led to resentment towards the very knowledge that can allow them genuine change and progress towards the future.

— 한글

기독교 이후의 서양의 고전 철학자들은 도덕을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으로 만들어진 인간의 중요한 미덕으로 생각왔어으나 동양에서는 도덕이 치국책의 용도로 사람들을 더 고분고분하게 만드는 하나의 규범으로만 간주되어가고 있다.  이런 식의 마키아벨리 풍으로 유교적 이념이 암묵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고, 이로 인해 사회적 변화가 상당히 빨리 일어난 것 같다.  유교를 하나의 이론으로 평가하는 것 보다 무지의 진보주의자들은 아기를 아기 씻는 물과 함께 버린을 일을 주도해왔다. 사회적 변화는 사회가 지니고있는 철학적, 참고적 위치를 반영해 일어나게 된다.  아시아 많은 국가들이 자신의 전통적 관점의 도적적 결과에 대해 심사숙고하지 않은 것을 보면 (발전이란 이름아래 서양의 모든것을 수용하며) 얼마나 전통적 관점이 뒤떨어지며 일반적으로 모든 삶의 면에서 발전과 상반된다는 인식이 팽배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본의 메이지유진이 점화시킨 것이다. 오랫동안 자기회의와 대륙풍의와 대조되는 자신들의 열등감에 억업받았던 자들속에서 일어난 것이었다.

한국에서 볼 수 있듯이 한자나 고전문학이나 철학 같은 것을 공부하는 것은 비생산적인 일이다라 하여 단순하게 하찮은 분야로 인식되어 버렸다. 젊은 사람들이 점점 더 물질주의적 관점의 삶을 반영할때 이러한 추세는 매우 심각한 추세이지 않을 수 없다. 철학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철학이란 단순히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외워두는 지식이었지 도구이었을 뿐이었다. 삶과 아무런 연결이 없이 습득되는 지식은 미래를 위한 진정한 변화와 발전을 줄 수 있는 지식에 대해 분노만 일어나게 하는 것이 되어 버린다.

Issues with South Korea, from investor’s point of view (투자자가 본 한국의 문제들)

(한국어는 밑에, Korean translation available in the bottom)

— English

There were some memorable points that Jim Rogers, a well-known American investor, has pointed out about Korea, and why there would be no future for it if it continues this way. (Sub-points are my personal reflections.)

  • 3 companies hold the 50% of the national GDP.
    • In the early days of post-war modernization, the political leaders allowed a full government support of only a handful companies, and those companies have managed to maintain a tight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and monopolize on the Korean economy.
  • Too many young people are only seeking to get a government job. There’s future only if young people are willing to challenge the status quo with new ideas.
    • Two to three generations of people have experienced how unstable the market has been, so Korean people in general have been tamed to believe that the government job is the only stable job for their children to have.
  • The birthrate is too low and i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labor market.

 

— 한국어

유명한 미국의 투자자  짐 로저스가 최근에 한국의 문제들에 대해 몇 가지를 언급했고 계속 유지되면 미래가 없다고 했다. (밑에 있는 포인트들은 나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3개의 회사가 나라의 GDP 의 50%를 가지고 있다.
    • 한국전쟁이후 정치적 지도자들은 몇몇 되지 않는 회사에게 전적인 정부지원을 허락하였고 그 회사들은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한국 경제를 독점할 수 있었다.
  • 너무나 많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공무원직만을 추구하고 있다. 젊은 사람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도전을 하는 곳에만 미래가 있다.
    • 2 ~ 3 세대의 사람들이 시장이 얼마나 불안정했는지 경험했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일반적으로 공무원으로 일하는 것이 자녀들이 가질 수있는 유일한 안정적인 일이라고 믿고있다.
  • 출생률이 너무 낮아 미래 노동률에 큰 타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