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Haaretz (הארץ)

Earth and everything in it is His.

무법의 세상 / People Doing Whatever They Want To Do

막내 딸 아이의 말같은 개 Max 까지 보는 것을 포함하면 보통 세마리의 개를 매일 봐준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오후에 같이 짧은 산책을 하고 갔다오면 간식을 각각 따로 밥그릇에 주는데 큰개가 역시 재일 빨리 먹고 숏다리 Sido 는 입이 까다로운 지라 일단 간식을 입에 잠깐 물고 다시 바닥에 뱉어버린다. 이 때 다시 Sido 밥그릇에 넣어주고 잠깐 다른 곳에 신경을 쓰고 있으면 Max 가 와서 물어가 자신 것인 마냥 먹어버린다. 더 오래 같이 키운 할머님 Bella 는 눈치를 보고 내가 다른 방에 있으면 가서 물어가신다. 개들의 세상엔 법이란 없다. 비록 주인의 말을 잘 듣는 개가 있고 없는 차이고 더 나가 음식에 있어서는 모든 것이 눈치의 규칙으로 진행된다. 눈치를 봐서 혼나지 않을 것 같으면 그냥 물어가는 식이다. 나름 조금 훈련 받았다 하는 개는 보는 사람이 있으면 규칙을 지키는 척 하는 정도가 개의 세상인 것이다.

사람은 달라야 하는데 정치판이나 교회 같은 곳에서까지 눈치 개임이 만연한 것을 보면 인간은 나이가 많은 어른이 되도 그냥 솔직하지 못하고 마냥 자기 밥그릇 챙기는 개 정도 밖에 않되는 것 같다. 한국과 미주 한인들의 사회를 보면 같은 것을 겪은 사람들의 모임이라서 그런지 비슷한 현상을 너무나 자주 목격한다. 오히려 지도자급 정도되는 인간들 또는 자칭 교육을 많이 받았다는 사람들이 더 비겁하고 더 거짓되는 모습을 보며 옛 더 못살았고 더 교육을 못받았을때의 韓人들의 모습이 더 정직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옛 어떤 TV 프로그램에서 시골의 한 어머니가 상경하는 아들에게 딱 한가지만을 가르치는 것이 있었는데 그것은 거짓말하지 말고 항상 진실만을 말하라는 것이었다. 지금의 어머니들은 그저 좋은 학교에만 보내는데 혼심을 다하여 학력이 좋은 사회가 만들어졌지만 이런 기본적인 誠言도 하지 못하고 그저 사람들의 눈치만 잘보는 사회 구성원들이 만연하게 되었다.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은…

  1.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지도자 자리에 앉은 인간이 쓰는 책마다 하버드에서 졸업했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거짓말의 연속으로 대통령 후보가 된 인간이 자신은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하며 따불로 거짓말하는 눈가리고 아옹하는 사회는 이미 늪지대가 된 사회이다. 자신에게 불리하다 해도 거짓말을 하지 않아야 한다. 공산주의나 사회주의가 계속 실패하는 이유도 지도자층부터 맨 밑바닥의 사람까지 다 거짓말로 연명하는 사회로 변하기 때문에 그 거짓의 분량이 산같이 무거워져 무너지는 것이지 어떤 외부의 세력으로 무너진적이 없다. 체르노빌 1986년 핵발전소의 폭팔이 핵연료 용융으로 이어진 사건도 사실 건축당시의 정치적 우새를 위한 거짓이 만여해져서 만들어진 사건이다. 그렇게 큰 사건이 자주 있지는 않지만 오랜 유대-기독교의 가치관을 기반으로 둔 자유시장 사회또한 마찬가지이다. 국부론에서도 사회의 구성원들의 솔직함을 전제로 하고 있지 거짓이 만연한 사회는 무너지는 사회라는 것은 경제학 박사가 아니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사회다. 건강한 가정이나 건강한 사회는 높은 수준의 신뢰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모임이다. 선조들이 말한 선의의 거짓이라는 것을 빌미로 거짓을 어떤 방법으로든 정당화 하지 말라. 그냥 언제 어디서나 어떤 불이익을 당한다고 할찌라고 거짓은 잉태된 한 아이를 죽이는 것과 같은 죄라고 생각하고 거짓을 말하지 말아라.
  2. 시간을 잘 지킨다.
    만약 10사람이 모이는 모임에서 한 사람이 늦어서 10분을 기다렸다고 하자. 한 사람이 100분의 시간이 낭비한 것이 된다. 사람과 사람들이 모여 어떤 한가지의 목적을 이루기위해서 시간을 지키지 않은 것은 죄라고 말해야 겠다.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타인의 시간을 아끼지 않는 태도에서 비롯되는 것이 만연하게 되면 누가 시간을 귀하게 여기겠으며 누가 타인과 자신의 시간까지 아끼며 일을 하겠는가? 아직까지도 미국에서는 한인들이 어떤 모임에 늦는 사람들이 많다. Korean time 하면서 마치 기정 사실화 된 것 처럼 가난한 나라의 외국인들까지 포함해 시간을 잘 안지킨다. 요즈음 Google Map 같은 앱으로 어느 장소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거의 분단위로 정확하게 할 수 있다. 10분 늦어서는 5분 정도 일찍 도착하게 출발하라.
  3. 자신의 중심 의무에 충실한다.
    개인적인 낙 또는 이익을 위해서 보낼 수 있는 시간과 기본적으로 맡은 일하는 시간을 구분 하지 못하면 과연 개 보다 나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자신의 이름을 건 어떤 약속이나 계약이 있으면 목숨이 위태로와도 끝까지 지켜야 하는 것이 도리이다. 이것이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며 또 무엇 무엇을 하겠다고 약속을 하며 그것에 모든 것을 동원하여 이루어내야 하는 것이 기본이 되야 한다. 그러나, 이런 이유 저런 이유를 대가며 그냥 약속한 것을 무시해 버리는 것이 얼마나 많으면 타인이 약속을 무시한 것에 너무나 관대한 한인들이 되어 버렸다. 그러면서 더 큰 숲을 보지 못하고 자신이 더 용서를 잘하고 은혜쓰러운 사람이라고 셀프 위로하며 넘어간다. 참으로 안타까운 수준이 아닌가. 그리고 약속을 지키지 않은 사람은 매일 밥먹듯이 연속으로 小大 가릴 것 없이 약속을 어기는 것을 버릇처럼하면서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病身 사회또는 한인 단체를 만들어 간다. 사실 이러한 기형 단체를 반 100년정도 보고 같이 살아보니 나 까지 病身이 되는 느낌이 들어 한인들이 모여 있는 곳은 기본적으로 가지 않기로 했다. 정신을 산만하게 하게 하고 시간을 낭비하게 모든 것, 아무리 가까운 사람또는 책또는 인터넷의 내용이라해도, 차단해야 한다.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자신이 똥싸고 닦는 정도의 기본적인 것들은 지켜야 되는 않는가?


If you count Max—the youngest daughter’s dog who thinks he’s one of the family too—I suppose I watch over three dogs on a daily basis. We usually go for a short walk in the afternoon, and when we come back, I give each dog a treat in their own bowl. The big one always finishes first, while short-legged Sido, being the picky type, will take the snack in his mouth only to spit it back onto the floor. That’s when I pick it up and place it back in his bowl, but if I get distracted for even a moment, Max will swoop in and eat it like it was meant for him. The older dog, Bella—who’s been with us the longest—tends to gauge the situation, and if I’m not in the room, she’ll sneak in and grab it herself. In the world of dogs, there’s no such thing as law. Some are better trained, sure, but when it comes to food, everything runs by unspoken social cues. If they sense they won’t get scolded, they just go for it. Even the so-called “trained” ones only pretend to follow the rules when someone is watching. That, in essence, is the canine way.

People are supposed to be different. But when I look at how things run in politics and even in the church, it’s nothing but the same old game of reading the room. It makes you wonder if, even with age, people don’t become much more than dogs looking after their own food bowls. In both Korean society and Korean-American communities, I keep seeing the same patterns repeat. Oddly enough, it’s often those in leadership positions—the ones who boast of higher education—who are the most cowardly, the most dishonest. Sometimes I think back to when our people had less money and less schooling—weren’t they, in a way, more honest back then?

There was this one old TV program where a rural mother sends her son to Seoul and teaches him just one thing: never lie—always tell the truth. Today’s mothers pour every ounce of effort into getting their kids into good schools, and sure, we’ve built a society full of degrees. But somewhere along the way, we’ve raised a generation that doesn’t even know how to say a simple word of truth, only how to navigate public opinion.

A healthy society is made of people who:

  1. Do not lie.
    When every book written by a public figure falsely claims they graduated from Harvard—when someone who’s lied their way up to becoming a presidential candidate still insists they’ve never told a lie—what we’re looking at is a swamp, not a society. Even when the truth is inconvenient or damaging, lying should never be an option. Communism and socialism fail not because of some external enemy but because their leaders and citizens build entire societies on lies until the weight of deception collapses the whole structure. Remember the Chernobyl disaster in 1986? That was the result of layers of political lies that started way back during construction. Tragedies like that don’t happen every day, but let’s not pretend the free-market societies rooted in Judeo-Christian values are immune. Adam Smith’s Wealth of Nations assumes truthfulness among citizens. A society overrun with lies doesn’t need a PhD in economics to understand—it’s on a path to ruin. A healthy home or society is built on trust. Don’t use the excuse of “benevolent lies” passed down from our ancestors to justify deception. No matter the consequences, lying is like killing an unborn child—it’s sin. Don’t do it.
  2. Keep time.
    Let’s say a group of ten meets and one person is ten minutes late. That’s a hundred minutes wasted. That’s a sin. When people no longer value each other’s time, how can we expect anyone to work diligently—respecting not only their own time but others’ too? Even now, in the U.S., Koreans are notorious for being late. “Korean time,” they laugh, like it’s a given—lumping themselves in with foreigners from struggling nations. These days, with apps like Google Maps, you can calculate arrival times down to the minute. If you think you’ll be ten minutes late, just leave five minutes earlier.
  3. Fulfill your duties.
    If someone can’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ime spent on personal pleasure and time owed to responsibilities, can they really claim to be better than an animal? When your name is on a promise or contract, you keep it—no matter the cost.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ruth-telling. When you say you’ll do something, then your entire being should be committed to making that happen. But instead, we now live in a society where people shrug off commitments with excuse after excuse. And what’s worse? We’ve grown tolerant of broken promises, even making a virtue of it—telling ourselves we’re gracious and forgiving when in reality, we’ve lost our backbone. Those who constantly break promises, big or small, do it without guilt, and this becomes the new norm in Korean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I’ve seen these dysfunctional communities for half a century, and frankly, they’ve made me feel sick. I’ve come to avoid Korean gatherings altogether. Anything—or anyone—that scatters your focus and wastes your time, no matter how close they are, no matter how useful their words or writing—cut them off.

If you were born human, shouldn’t you at least have the decency to do the very basics at the level of cleaning up after your own mess?

Maison (Home 집 家)

FrenchEnglishKoreanJapanese
Où va-t-on?
Quand on n’a plus de maison?
Les fleurs sous le béton
Maman
Dis-le-moi, où va-t-on?
Est-ce qu’un jour on sait vraiment?
Ou est-ce qu’on fait semblant, tout le temps?
Où va le cœur quand il se perd?
Dans les doutes et les hivers?
Pourquoi les jours se ressemblent?
Est-ce qu’on finit par voir ce qu’on assemble?
Maman dis le moi
Au-delà
De l’orage il y a
De l’amour, de l’amour de l’amour
Quand le ciel s’ouvre
Tout redevient calmе
Et tout va bien
Où va-t-il?
Le bonheur, cе fil fragile
Quand il tremble et se brise
Maman
Dis-le-moi, où va-t-il?
Pourquoi le monde semble si grand
Quand on devient un peu plus grand qu’avant?
Que deviennent les rêves qui s’enfuient?
Et les souvenirs qu’on oublie?
Est-ce que j’aurai toujours des questions?
Peut être que j’en ferai des chansons
Maman dit le moi
Au-delà
De l’orage il y a
De l’amour, de l’amour de l’amour
Quand le ciel s’ouvre
Le calme revient
Et tout va bien
Where are we going?
When we no longer have a home?
Flowers under the concrete
Mom
Tell me, where are we going?
Do we ever really know?
Or do we just pretend, all the time?
Where does the heart go when it gets lost?
In doubts and winters?
Why do the days all look the same?
Do we ever see what we put together?
Mom, tell me
Beyond
The storm there is
Love, love, love
When the sky opens
Everything becomes calm again
And everything is fine
Where is it going?
Happiness, that fragile thread
When it trembles and breaks
Mom
Tell me, where is it going?
Why does the world seem so big
When we become a little bigger than before? What happens to dreams that slip away?
And the memories we forget?
Will I always have questions?
Maybe I’ll make songs about them.
Mom, tell me.
Beyond
The storm there is
Love, love, love
When the sky opens
Calm returns
And all is well
우리는 어디로 갈수 있을까
더 이상 집이 없을 때?
콘크리트 아래의 꽃들
엄마, 말해줘, 우리는 어디로 갈수 있어?
우리는 과연 알 수 있을까?
아니면 우리는 항상 겉치레만하고 있는 걸까?
마음이 길을 잃으면 어디로 갈까?
의심과 겨울속에서는?
왜 모든 날이 똑같아 보일까?
우리가 만든 것을 바로 직시하고 있는가?
엄마가 말해줘
폭풍 너머에
사랑, 사랑, 사랑
하늘이 열리면
모든 것이 다시 고요해지고
모든 것의 안녕
어디로 가는가?
행복, 이 연약한 실
그것이 흔들리고 깨질 때
엄마, 말해줘, 어디로 갈수 있어?
왜 세상은 이렇게 크게 보일까?
우리가 전보다 조금 더 키가 커지면?
도망가는 꿈은 어떻게 될까?
그리고 우리가 잊어버리는 기억은?
나는 계속 질문을 하고 있을까?
아마도 이에 대한 노래를 만들꺼야.
엄마가 말해줘
폭풍 너머에
사랑, 사랑, 사랑
하늘이 열리고 돌아오는 평온
그리고 모든 것의 안녕
私たちはどこへ行くことができるのか
もう家がないとき?
コンクリート下の花
ママ、言ってくれ、私たちはどこに行ける?
私たちは果たして知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か?
それとも私たちはいつもお世辞ばかり言っているのかな?
心が道に迷ったらどこへ行こうか?
疑いと冬の中では?
なぜすべての日が同じように見えるのだろうか?
私たちが作ったものを直視しているのか?
ママが言って
嵐の向こうに
愛、愛、愛
空が開けば
すべてがまた静かになって
すべての平穏
どこへ行くのか?
幸せ、この軟弱な糸
それが揺れて割れる時
ママ、言ってくれ、どこに行ける?
なぜ世の中はこんなに大きく見えるのだろうか?
私たちが前より少し背が高くなったら?
逃げる夢はどうなるかな?
そして私たちが忘れる記憶は?
私はずっと質問をしているのかな?
多分これについての歌を作るだろう。
ママが言って
嵐の向こうに
愛、愛、愛
空が開いて帰ってくる平穏
そしてすべての平穏

舊韓末과 같은 지금

中國에게 간을 빼주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국회를 장악해 앉아 있고 나라를 부강하겠다고 하며 최고 자리를 탐하고 있는 姦雄이 民心을 사로잡을려고 하니 어찌 한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나라를 빼앗기면 민족적인 위기감이라도 생기지 姦雄이 통치하면 거짓으로 배부르게 하며 나라를 빈털이로 만들것이니 슬프도다. 어찌하여 大나 小나 大韓의 지도자란 자들은 다 하나같이 姦雄밖에 없는것인가?

왜 한국에만 높은 호혜 관세 기준이 적용되고 있나?

2025년 4월 9일부터 한국에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FTA에 가입도 되지 않았던 일본은 24%인데 (자동차는 25%) 한국은 1% 로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현대 그룹까지 더 큰 공장을 조지아 주에 세우겠다는 계약을 한 후에 이루어진 것이다. 왜 일까? 트럼프는 한국의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이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더 크게 보이기 때문에 일단 카드를 가지고 가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때 Korea passing 은 군사 및 외교적 정보의 차단으로 이루어졌다. 친북반미 세력의 장악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상의도 없이 북과 직접 대화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Korea passing 더 확대되어 이루어 질 것이다.

Current situation in Syria

Kurds, Turkiye, Israel, Rebels, U.S.

Turkiye consider Kurds a terrorist threat to their country, so they are staying. US considers itself as an obstacle to more terrorist groups from crossing over into Syria from Iraq and Jordan, while pulling oil. Israel has it as a buffer.

In his pocket

The rabbis advised:
keep two truths in your pocket,
one should read:
I am but dust and ashes
and the other should read:
the entire world was created for me

An 8-year-old has
something else in his pocket.

Confetti.

Why?

It’s his emergency confetti,
he says,
during these raw days
he carries it with him
everywhere
just in case
there is good news.

그의 주머니 속엔

라비들은 조언했다:
주머니에 두 가지 진실을 간직하라,
하나는 이렇게 적혀 있어야 한다:
나는 먼지와 재에 불과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이렇게 적혀 있어야 한다:
온 세상은 나를 위해 창조되었다

8살짜리 아이의 주머니 속엔 다른 것이 있다.

컨페티.

왜?

그것은 비상 컨페티라고 그는 말한다,
이 험한 날들에
그는 좋은 소식이 있을지도 모른다며
어디를 가든지
그것을 가지고 다닌다.


TIL 2023-11-13

기지국가론(基地国家論)이 바탕되는 인도태평양전략은 日의 전략판; 미중패권전쟁 (인태전략 > 첨단기술경쟁)

2010 Shock: Japan gave 2nd place in world economy to China; Senkaku

2012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일본은 극우로 탈바꿈 > 아베가 2012년말에 당선됨

모스트모던 시대의 모임

(序文: 요즘 학계에서 중요시 여기는 것들은 現代에 맞춰진 정치문화적 요구에 반영되는 재건주의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것들이 많고 인간 역사 대대로 내려온 것들의 충분한 이해와 지속성의 필요성은 시야에서 없어진지는 근 70여년이 되고 있는 現時代精神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과거와 맥을 이루는 관점을 제시한다.) 여자의 조언을 따르거나 여성적 인도자는 최대한 의견의 충돌을 줄이는 방향을 잡는다. 여성적인 성격은 근본적으로 감정적 충돌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다가 자신과 자신의 가족만을 생각하는 집단 나르시시즘의 요소가 강해서 상대를 타인으로 규정하는 순간 벽 밖에서 만들어지는 그 어떤한 견해는 벽안의 가족들과만 화평하다면 아무런 상관이 없어지는 우물과 같은 조직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것은 그릇이 작은 것과 비교되어 왔던 것이다. 인도자의 역활은 기본적으로 의견의 충돌을 회피하는게 아니고 충분히 양면의 의견을 이해하고 가운데서 만날 수 있게 돕는 역활이다. 자신이 그 대화의 한 사람이라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란 태도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확고히 해야하며 기피하는 방법이 아니라 충분히 열린 대화의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렇게까지 확고한 의견이라면 최선을 다해 상대방을 설득시켜야 하는데 사람을 설득시키는 방법의 첫 단계는 먼저 충분히 이해하고 상대방이 충분히 이해받았다는 것을 전하는 것에 있다. 이 또한 쉽게 어떤 얕은 수단으로만 이해하고 실행한다면 인간적인 기본이 미숙한 사람이라고 봐야겠다. 교회라는 배경안에서는 여성적 인도자는 아주 간단하고 제일 강력한 회피 전략으로 상대방을 악마로 만들어 버린다.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 들면 천사 자신의 마음에 안들면 악마로 만들어 버리는 전략이 비일비재하니 교회가 계속 세속의 단체들보다 못한다 말을 듣는 것이다. 남성적인 인도자는 상대의 의견을 이해하되 상대가 자신의 의견이 존중을 받았다까지 느끼게 하는 것이 부족할 수 있다. 아무리 좋은 교육을 받고 상당히 높은 이상을 품고 있다하더라도 제일 먼저 더 높이 계신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 첫 단계이고 그 다음은 사람을 그곳으로 인도하는 것에 있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뜻이 확고한데 인간의 다른 의견과 생각을 두려워 할 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의 뜻이 아닌 내 개인적인 의견이 옳다 생각되면 그 만큼 상대방의 다른 의견을 통해 더 완성도 있는 의견으로 다져지거나 바뀌어지거나 확인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충분한 검토와 생각이 뒷밭침되는 의견은 강하게 내세워야 할 책임도 자신에게 있는 것이다. 충돌이 있으면 잘 이겨나가면 된다. 옹알이도 충분히 들어주다보면 이해하는 경지까지 갈 수 있다.

어느 회의라든지 모임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를 생각해 본다:

  1. 극적인 표현은 하지 않는다.
  2. 상대방 생각을 다 아는 것 처럼 말하지 않는다.
  3. 상대방에게 무엇인가 배울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한다.
  4. “나” 아니면 “제 생각으로는” 라는 단어를 더 많이쓰고 상대방의 헛점이나 잘못된 것은 가능한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지적하지 않고 구분화 시켜서 확실하고 자세히 지적한다.
  5. 용건이 있으면 종합적으로 말하지 말고 상세히 말한다.
  6. 참을성있게 상대가 무엇을 길게 말해도 끝까지 듣고 더 듣고 싶다는 인상을 남겨주어야 한다.
  7. 어떠한 불평이라도 방어적 태세를 취하지 않고 들어준다.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을 인정해 주는 최소한의 방법이고 내용보다 감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포스트모던 가치관에서는 개인의 감정이 어떤 사실의 절대성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잘못된 가치관이지만 미성숙한 사람이 더 많아진 사회에서 어쩔 수 없는 모임진행법으로 생각된다.
  8. 모임을 인도하거나 사회를 본다면 중립을 유지하고 안건을 내지 않고 오로지 사회와 중재에 필요한 말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사회자의 말은 자동으로 권한을 쥐고 있는 사람의 말이기 때문에 안건을 제시한다는 것은 동일한 무게의 안건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공평한 제의라는 감정과 의견이 고체되기 쉬워지고 분열이 나온 안건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의 불만은 더 증가할 수 밖에 없어진다.

TIL 2023-10-09

世는 숫자 30을 의미하는 卅에 가로 휙 둘을 더하면 세대를 의미하는 세 자가 된다. 고대에서도 대략 30이면 다음 세대의 아이들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いくつかの日本食堂では週末だけ割引メニューがある。 週末と平日の区分をしっかり知って食堂に入らなければならない。

TIL 2023-10-08

The presider of the meeting should not be impatient, and better to restrict to only to moderate so that the attendees could be attentive to the speaker, who should be the only one speaking.

Oscar Wilde’s most famous works were The Picture of Dorian Gray (1891), Lady Windermere’s Fan (1892) and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1895).

People typically have strong affinity for the institutional names that have passed down regardless of literal, semantic significance, rationale, and relevance.

TIL 2023-10-07

Mohamed Ghassen Nouira of Tunisia restored the ancient purple from oysters. It used to be called Tyrian Purple after the city of Tyre.

Japanese, Momotaro denims is handmade from real indigo and usually costs over $300 as of 2023. https://momotaro-jeans.com/

Damascus steel can made by folding steel over 1,500 or 3,000 times. Real ones cost at least $1,000. Cheaper counterfeits imprint on a regular steel and they can cost under $100.

Eggs has a highest quality protein and provides all kinds of nutrients that are missing in other friends.

37년만에 아시안게임에서 양궁 임시현 선수 3관왕

13년만에 역도 금메달, 박혜정, 인상 125kg, 용상 169kg, 합계 294kg

In the old days, sailors used to get scurvies due to the lack of vitamin C in their diets.

(Note: TIL = Today I Learned)

목숨을 다해도…

목숨을 다하며 나라를 위해 전장에서 치열하게 싸워 승리와 승리를 거둔 다윗 왕. 그의 명성은 대단하였지만 그가 성적으로 죄를 지었을 때 철저하게 하나님 앞에 나가 회개하였다. 그가 진정히 위대한 이유는 인간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 대단한 업적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 내세우지 않고 벌거벗은 자신을 내려놓고 오로지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는데 모든 것을 걸었던 인간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에 두리하나의 천기원 목사가 있다. 아시아의 쉰들러라고 불리며 목숨을 다해 천여명에 달하는 사람들, 특히 여인들과 여자아이들의 탈북을 도와준 인물이다. 그러나, 10여년전부터 이상한 소식이 들리기 시작했다. 성폭행으로 고소를 받고 고소를 한 탈북 여인의 오빠는 자살까지 한다. 당연히 천 목사는 목숨을 다해 부인해오고 있다.

여기 남서부 지역에 까지 탈북 여자 아이들을 대리고 와서 교회를 방문을 했었다. 식당에 가서 같이 점심을 했는데 상당히 이상한 광경을 목격했다. 많은 사람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고등학생 즈음 되는 여자아이가 와서 목사님의 어깨를 마사지 해주더니 천 목사가 여자아이의 엉덩이를 감싸 안아 주는 광경이었다. 내 딸아이였으면 당장 일어나 아이 손을 잡고 나갔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도 그것을 보고 이상해 하는 눈치가 아니었다. 세 딸의 아버지로 나의 딸이 그 어떤 목사라 하는 사람이 저렇게 대한다면… 이라는 생각에 나는 상당히 불쾌해서 인터넷에서 조금 찾아봤다. 전에 성폭행 사건에 대해 알게 된 후 교회 두 대표 장로님들에게도 알려드렸다. 최소한 나의 교회에서는 직접적으로 도와 주지 않는 편이 차라리 나을 것 같다란 생각이 들어서였다. 20여년 전도사들과 목사들 사이에 끼어 일하며 여러가지를 보고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 스스로도 여자아이들을 대할 때는 악수조차 하지 않고 신체를 가까이서 만지지도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사역을 담당해 왔었다. 어떻게 그 탈북 아이들을 보호할 까는 엄두도 내지 못했다. 담임 목사는 자신이 개인적으로 아는 목사라고 하고 나중엔 심지어 원래 사람들을 잘 만지는 그런 사람이라고 하며 추호도 성적인 의도가 없다고 말하는데 또 순진한 척하는 것인지 아니면 같은 목사에다가 친분이 있는 사람이라 변호해야 할 특별한 책임을 느껴서 그런 것인지 모르겠다.

최근에 또 뉴스에 올랐다. 이번엔 그냥 작은 신문이 아니라 KBS 9시 뉴스. 아이들의 증언가 주변의 여러사람들의 증언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담임 목사는 자신이 직접 천 목사와 통화해 그런게 아니며 천 목사는 그럴 사람이 아니라고 변호해 주고 있다.

그렇게 먼 옛날이 아닌 90년까지만 해도 미국 경찰들 중에 Blue Wall of Silence 란 것이 있다. 경찰들끼리는 아무리 무엇으로 잘못해도 모른 체 해주는 것을 말한다. 심지어 법원에서 까지도 그냥 묵비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파랑색의 침묵의 벽이라 말하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한국 목사들 사이에도 이런 것이 있어 보인다.

‘탈북자 지원단체 대표가 탈북여성 性 폭행’파문 확산 – sundayjournalusa

https://youtu.be/qh6QsAZaDGA?si=jzoCkYvpt8QQwRrc

https://youtu.be/eyzNSSFwslA?si=LD9kCoiWMMl5bbQV

https://youtu.be/CtWKjISmjKY?si=4HSyqZmkKIFT1zJy

https://youtu.be/AzrOPQDGcgo?si=sfYnunmkWB0zaSfR

지랄맞은 현대 가족

아버지가 뭐를 같이 하자고 하면
따라 주지도 않고
지가 하고 싶은 것만 하고
밥도 같이 안 먹고
다 따로 따로 인터넷 오디오 북을 듣든지
영상을 시청하든지
지 혼자만 할 수 있는 것을 찾아하고
같이하는 것은 이빨 뽑는 듯 싫어하는데
무슨 얼어 죽을 공감대

이런 가족 안에서
서로 말을 듣고
따라주는 게 기적이지

지혜로운 여인은 자기 집을 세우되
미련한 여인은 자기 손으로 그것을 허느니라 – 잠 14:1

내 뒷마당은 안되유~

오랜 정치 파벌 싸움에 이용되어 지역갈등이 더 커진 것 처럼 정치화된 THAAD 때문에 주위에 신경이 쓰이는 사람들이 많고 또 세계적 NIMBY 운동 확장세라 조용할 날이 없을 것 같다.

나는 미국 연방 군사무기 연구소 바로 옆에서 산다. 도시를 남북으로 딱 잘라 남쪽 1/2의 크기가 다 공군기지와 함께한 연구소 땅이다. 동쪽으로 백두산 높이의 산자락이 있다. 동쪽에 있는 산자락 남쪽으로 등산을 하다 보면 가끔씩 무기 연구소 쪽의 황량한 벌판 지대에서 쿵 하는 저음의 소리와 함께 큰 하얀 연기가 땅 위로 올라온 후 검은 연기로 바뀌어 올라오는 것을 본다. 보통 도시에서는 들은 적은 없는 소리인데 많은 건물 때문에 자동 방음이 되는 것 같다. 산위에서는 들려왔던 소리. 등산하다 가끔씩 봐왔던 것은 지하 실험으로 인한 것들이다.

이렇게 대낮에도 아무렇지도 않게 지하 실험하고 있는 연구소이지만 여기 지역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아무런 반항도 없고 인체에 대한 어떤 위험이 있는지 따지는 사람도 없다. 물론 같이 일하는 분들 중에 부모가 과거에 북쪽에 있는 핵무기 연구 중 방사능 노출로 인해 암유발과 함께 돌아가신 분들도 몇 만났지만 여기 같은 동네에 있는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어떤 시민 항의가 있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물론 군사용 무기라서 특단의 비밀리 진행되는 연구가 대부분이라 그런 것도 있겠지만 산 남쪽에 올라가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지하 실험들… 핵무기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된다는 것도 직접 연구하고 있는 친구가 있어서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아무튼, THAAD 가 문제라면 대한민국 국민들이 사용하는 전화기를 먼저 문제삼아 없애야 할 것이다. 왜냐면 전화기에서 나오는 EMF 가 THAAD 100배가 넘기 때문이고 더 강력한 EMF 라서 (지속적이지는 않음) 몸 옆에서 신호가 떨어질 때마다 세포의 유전자를 붕괴한다는 사실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THAAD 수준의 EMF가 문제라면 왜 TV, 라디오, 그리고 무수하게 많은 더 심각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EMF를 문제삼고 있지 않을까?? 정치인들의 유치하고 거짓된 선동과 그것을 대응하며 소비되는 신경, 돈, 시간,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게 아쉬울 뿐이다. ㅡ.ㅡ

고령자또는 노인에 대한 기준 및 비교

한국과 미국의 비교

한국미국
법률상155세 이상의 사람은 고령자
50세 이상 55세 미만은 준고령자
통계청65세 이상
노인복지법65세 이상
노인복지관및 노인교실 이용60세 이상
경로당및 노인공공시설65세 이상
AARP (노인시민단체)50세 이상
개인연금 (401k)59.5세 이상 (연금을 탈수 있음)
공무원연금 (403b)62세 이상
의료보험 (Medicare)65세 이상
사회보장금 (Social security)67세 이상
65세 이상 인구15.7%16.9%
초고령화사회 진입 예상년도 (20%를 넘으면 초고령화 사회)2025년2040년
태도절망기대
빈곤률43%23%
  1.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고령자란?, 고령자고용촉진법 (2022)

Dash, en dash, and em dash

This is only for Windows. On macOS, you can just use Option+[dash] for en dash and Option+Shift+[dash] for em dash. On Linux, it may differ depending on what IME you use.

NameKey or Alt CodeExample
Dash or hyphendash key on the key boardThis is what-a-ma-call-it.
En dash0150In place of to as in 9–5.
Em dash0151Break up the sentence—if you know what I mean.

French press brewed coffee guide

After using Mr. Coffee brewing machine for a while, I decided to switch to a non-plastic based method for brewing coffee. The reason was simple: I don’t want my family to be drinking byproducts of plastic components (e.g. BPA) in their coffee. One or two day of use shouldn’t affect health, but using it over many years is a different story. So, I took out the old French press, which is all glass and decided to give it a go. Noting the procedure here after a little research, so I don’t forget it. This does make much stronger coffee, so adjust the amount of coffee to suit your needs.

  1. Prepare 60 ~ 65 grams of very coarse ground of coffee (little more than 3/4 cups of coffee), and 1 liter of water.
  2. Pour coffee grind into a clean (and dry) French press.
  3. Pour in the water as soon as it starts to boil into the press and stir thoroughly, but gently, at about 40 seconds.
  4. Close lid and wait 7 minutes.
  5. SLOWLY press down on the press. Do not agitate the coffee beans. They’ve been brewed completely by now, and no need to get the bitter parts into the final product.
  6. Enjoy.

요로결석

식중독인줄 알았어

배가 다 뒤틀리어서
뒤로 나올 것 까지
입으로 나오며
몇 시간을 끙끙거렸지만

진통은 가라앉지 않아
병원으로 달려갔지

진통제로 진정시킨 후
6시간을 걸친
여러 검진 후 의사 말
“요로결석입니다”

왜, 또?

뭐가 문젤까?
처음에 있었던 후
매일 물도 꾸준히 잘 마셨건만..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

출처:
안 규호, 2009.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 시사포커스. Available at: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645 [Accessed March 29, 2021].

사실 대한민국이 그동안 친일파를 청산하지 못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됐다.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부인을 할 수 없는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던 여성박사 1호인 김활란, 시인 모윤숙과 서정주 애국가 작곡가인 홍난파 등은 친일 행각이 알려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적지 않은 놀라움과 불쾌감을 가졌던 기억도 있다.

대한민국도 해방 이후에 친일파 청산의 노력을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1948년 ‘반민족행위처벌법’을 제정해서 의욕적으로 친일파청산을 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이 흐지부지 되면서 친일부역자가 단죄는커녕 정치권력 뿐 아니라 사회 각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행적인 역사를 연출한 것이 우리의 역사였다.

세월의 흐름만큼 많은 국민들이 친일파에 대한 기억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글로벌시대’ ‘지구촌은 한 가족’이라는 구호가 나오고 있는 요즘 친일문제는 ‘구태의연’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국민들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친일파 청산 없이는 우리의 역사가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친일청산의 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우리나라의 많은 초·중·고등학교 교과서 심지어는 대학서적에서도 일제시대라는 표현을 쓴다. 이는 정말 잘못된 표현이다. 일제시대(日帝時代)라는 말을 풀이해 보면 한자 뜻 그대로 일본제국주의시대라는 이야기인데 이는 일본의 제국주의 부활을 꿈꾸는 이들이나 부를법한 이야기이다. 치욕의 역사인 왜정시대(倭政時代)를 일제시대(日帝時代)라고 표기를 하고 부르는 것은 적당히 않다.

일제 침략기에 고생을 했던 많은 어르신들은 아직도 왜정시대(倭政時代)라는 표현을 쓴다. 왜정시대倭政時代) 즉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왜나라 오랑캐들이 정치를 하던 시대라는 뜻이다.
이젠 마무리 정리하자.

전국민이 이번 기회에 사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인 일제시대(日帝時代)를 왜정시대(倭政時代)로 바꾸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면 한다.

내년 광복절에는 모든 항일순국선열들에게 떳떳한 날이 되었으면 하는 큰 소망을 해본다.

중년을 바라보는 제자들에게

직장 상사때문에 일을 그만 둘 생각을 하고 있는가? 다른 곳에 간다 해도 별 차이가 없을 확율이 상당히 높단다. 네가 상사가 되어 아무리 잘할려고 노력해도 너에 대해 같은 생각을 하는 부하직원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 같은 경제 불황 시기에 옮길 생각이나 그만 둘 생각은 말고 그냥 좀 더 참자. 너 같은 어려운 인간을 대하는 상사도 얼마나 힘들지 생각하며 측은지심을 가지고 상사를 대하라. 그러면, 괴롭히는 상사도 이해할 수 능력이 생길 것이다.

친구들은 대학 교수이고 돈 잘버는 직장에 다니며 다들 나름 삶에서 자리 잡고 있는 것 같은데 너 자신만 아무것도 아닌 것 처럼 느껴져 우울한가? 너의 고조부님의 성함은 기억하는가? 무슨 일을 하셨는지를 안다해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 그렇다, 우린 잠깐 있다 없어지고 잊혀질 이슬과도 존재인데 명예를 가지고 있고와 돈이 있고 없고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늘에 앉아 계신 분 앞에서 살아라. 진정 인생이 개와 소와 같이 여기서 끝나는 것이라 믿으면 한 순간 더 살아 무슨 의미가 있는가? 진정한 믿음은 영원을 바라며 사는 것이고 고로 진정한 삶은 영원한 가치를 가지고 그것을 실행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친구들과 비교하지 말라. 하나님께서는 너가 지금 있는 그 자리에서 주신 작은 것이라도 감사하며 충실히 행하는지 보고 계신다. 밥먹듯이 스스로를 속이고 남을 속이고 눈감고 아옹거리며 하나님을 속이고 사는 쓰레기같은 삶은 청산하고 내일 죽는다 해도 오늘을 솔직히 사는 것 — 그것을 첫 걸음으로 만들어라.

진정한 친구가 없어 한탄하고 있는가? 그럼 남에게 친구가 되어 주어라. 오래된 친구들에게 안부를 물어라. 나이들어 귀찮게 하지 말고 가시같은 말은 삼가하고 항상 격려의 말과 그 사람에게 덕이 되는 말만 해주어라. 하소연 할 친구가 필요하면 만날 기회도 없고 멀리 있는 친구들에게 손편지를 써라. 그런 친구도 없으면 과거에 지나갔던 친구에게 편지를 써라. 주소를 모르면 그냥 주소쓰지 말고 우체통에 넣어라.

사람들 눈 피해서 야동을 보고 있는가? 사람들 눈피한다고 하나님이 안보고 계시냐? 그럴 시간과 힘이 남아돌면 차라리 땀 흘리는 운동을 해서 에너지를 바르게 소비하라. 요즈음 전화기는 전화기가 아니고 어른들을 위한 고무 젖꼭지이다. 언제까지 젖꼭지 물고 살것인가? 인간이면 인간답게 화면보단 사람과 교감하며 대화하고 아내가 있으면 아내를 아내가 원하는 방법으로 사랑해 주어라. 스스로의 욕구를 일부러 자극시키지 말라. 인간의 마음은 구멍뚤린 그릇 같아서 만족이란 없고 욕구를 달랠 수록 오히려 사람을 더 피폐하게 만드는 것이 인생의 법칙이다. 작은 것에서 부터 자제력을 키우고 더 인간다워져라. 전화기 붙들고 살지 말고 책을 잡아라. 책에 있는 것들이 더 질높은 것들이다. 오래된 책을 더 많이 읽어라.

아내보단 다른 여자가 눈과 마음에 들어오고 있는가? 아직도 여자에게 미련이 있는가? 동물적 감각은 무시하고 자신의 마음을 지켜라. 불에 뛰어들어 다치지 않은 사람은 없다. 자신만 다치냐? 너에게 붙어 온 집이 불타오른다. 불태울려면 방탄소년단에나 가입해서 춤이나 쳤서야지 지금 아재가 되어 뭣 하는 미친짓이냐? 그건 미친 정도가 아니고 더한 수준이다. 미친짓 한다고 무슨 답이라도 나올 것 같냐? 아직 그 만큼 여자에 대해 모른다면 넌 그냥 단순 무식한것이다.

돈이 많이 드는 사치스런 취미는 그만해라. 그 돈 모아 더 유익한데 쓰던지 아니면 선교 헌금이나 해라. 돈 많이 안쓰고 시작 할 수 있는 취미가 널린 세상이다. 언어를 배우고 싶냐? 인터넷에 널려있다. 역사를 배우고 싶냐? 인터넷에 널려있다. 운동을 하고 싶냐? 그냥 밖에서 꾸준하게만 뛰고 집에선 쌀가마로 근육을 키워라. 집에만 있다고 아무것도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다 게으른 㖈들이다.

중년이 되면 최소한 자신의 몸, 인생 하나는 책임질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못하면 노답이다. 이것도 모잘라 이 나이때까지 남 뒷바라지나 바라며 아내 피빨아 먹으며 양심도 없이 기대하는 기생충 인생도 많아진 시대라 그것을 괜찮다고 생각하고 산다면 노답 곱하기 투다. 이 시점에 술이나 마약에 빠져서 바닥을 해매고 있으면 기적이 없이는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라 봐야한다. 출신, 배경, 가족 탓하지 말고 환경 탓하지 말고, 사회 탓하지 말라. 자존심 때문에 네 생각에 걸맞는 직위아니면 일하지 못하는 사치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세상이다. 무슨 이씨 왕가의 외동아들이냐? 어디서 배워먹은 찌질이 정신이냐? 인생은 그냥 낙을 누리며 사는 병맛같은 정신을 가지고 살았으면 이제 정신 리셋하고 바르게 살아라. 인생에서 마지막 기회이다. 나이와 상관없이 올바른 정신을 가진 선생이나 선배같은 사람이 인도해 주는 것 같으면 자존심 세우지 말고 너의 목숨이 달려있는 것 처럼 매달려 알려주는대로 순종하라. 마흔 중반 될때까지 방황하다 정신 차리고 사람 구실하나 했던 지인은 직접 자신에게 하지도 않았던 비난 한마디 받았다는 느낌을 받고 지 혼자 또 다시 엉뚱한 곳으로 빠지더라. 그런 희미한 결단가지고는 사나이가 무엇을 하겠느냐? 지금 철저히 회계하고 정신 차려 바른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회는 없다.

나이가 들수록 더 귀해지는 친구

이호선 교수의 세바시 비디오를 보고 나름 생각해 본다.

쉽게 정리하면 이렇다. 과거에 시공간을 같이 지내며 가까웠던 친구는 버리지 말고 더 자주 연락하면 지내야 하며 만나면 싫은 말은 하지 말라고 한다. 현제의 친구들, 즉 회사에서, 클럽에서, 교회에서 만나는 친구들은 미래를 같이 만들어갈 친구들이라 내 주머니에 현금과 같은 사람들이고 미래의 친구들은 과거와 현제의 친구들을 통해 만들어져가는 귀한 인맥들이 된다고 한다.

나이들어 사귀는 친구들과 사진을 많이 찍으라고 한다. 초청을 받으면 항상 받아드리고 가라는 것. 배려, 동정, 공유, 유머, 그리고 무엇보다도 초청에 수락하는 것들이 좋은 친구의 특징들. 그리고, 어디 여행을 가게 되면 비록 그 장소에 가까운 친구를 직접 만나지 못한다 하더라고 지나간다라고 소식을 꼭 전해 주어야 한다. 만나면 자랑하지 말라. 그리고 나이들어서 더 질높게 노는 시간를 가져라 등의 포인트이다.

과거의 친구

한국에서 10대 초반때 이민와 국민학교때 알던 친구들이 있다. 그나마 근 30년이 지나 인터넷으로 다시 연결된 친구가 몇몇 있지만 너무 오랫동안 보지도 못하고 연락도 못하지 지내서 그냥 존재만 인정하는 정도.

미국에서 국민학교 1년 그리고 중학교 2년을 다니며 가깝게 지내던 한인 친구들이 몇몇 있었다. 그러나, 난 지역에 동양인이 별로 없었던 시절에 백인 친구들만 많았던 과학고에 시험을 봐 합격되 들어가는 바람에 중학교때 죽마고우 처럼 가깝게 느겼던 한인 친구들과는 이별?을 하는 것 처럼 되었다. 사실 내가 다른 학교를 가게 되니 그들이 모여 놀때는 나를 좀처럼 끼워주지 않게 되었고 점점 멀어졌던 것 같다. 비록 교회는 꾸준히 다녔지만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은 누나 형들이었고 또래 나이에 있던 교회 친구들은 다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너무 일찍이 미국에 이민와서 그랬는지 좀 벌러덩 “까진” 아이들이었다고 표현할 수 밖에 없다. 아무튼, 교회 중고등부에서 이민온지 얼마안된 동생같은 아이를 매주 집에 대려다 주며 가깝게 지내는 친구아닌 친구가 생기게 되고 그랬다. 과학고에서 미국인 친구 몇몇과 대만 친구 하나가 있었는데 이들은 다 아이비리그로 빠지고 나는 신학교를 가는 바람에 또 그들과 멀어지게 되는데 이건 사실 미국 처럼 땅덩어리가 큰 나라에서는 너무나 흔한 현상. 여기 저기로 대학들로 가다보면 다 뿔뿔히 흩어지게 된다. 이때 가족과 분리되어 독립하게 되는 것이 미국의 일상이다. 그리고 신학대학을 다니며 KCCC에서 알게된 목사님들, 형들과 친구들. 시카고에 와서 여러 교회들과 신학교들을 통해 사귀었던 친구들. 사실 내가 연락을 않해서 멀어진것이지 다시 연락하며 얼만든지 친구처럼 보낼 수 있다고 생각은 한다.

이런 많은 친구들 중에 나와 계속 꾸준히 연락하는 친구들은 다 그 때 가정 형편이 힘들고 마음에 상처들이 있던 친구들이었다. 나에 대해 그들이 말하는 것을 보면 나도 조금 놀란다. 내가 그렇게 그들을 위해 시간을 보냈던가? 생각해보면 내가 그들에게 전도하기 위해 순수한 마음으로 전도를 했던 기억밖에 없다. 몇 시간이고 아파트 계단에 앉아 대화를 하며 기도해 주었던 기억들뿐. 오늘 날 이 몇몇 친구들은 나를 무슨 은인처럼 대하고 있지만 진정한 은인은 위에 계신 분이다.

현재의 친구

지금은 회사와 교회 그리고 검도 클럽이 있다. 회사에서는 딱히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한인 지인이 같은 부서에서 일하고 있고 나보다 2~3살 위인긴 한데 나름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사람이라 좀 처럼 가까이 지내기는 쉽지 않다. 교회에서는 또래 30~40대가 별로 없다. 2~3명 있어도 다들 이민온지 별로 안되거나 삶이 너무 바쁜 사람들이어서 시간내기가 힘든 사람들이다. 그리고, 사실 나도 바쁜 것을 보면 이 나이때 사람들은 다 바쁜 시기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교회에 대한 넋두리를 풀면 책한권이겠지만 시골 아닌 시골 같은 미국 도시에 살기로 한 이런 건 충분히 감수해야지 계속 밉상인 사람들을 밀어내면 주위에 사람이 없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언제 교회가 문제가 없고 완벽했는가. 주신 사명 안에 바른 관점과 노력에 달린 것이지. 그냥 쉽게 벗 삼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조금 아쉬울 뿐이다.

그것도 그런것이 나같이 어릴 때 이민와 미국에서 교육받은 친구들은 다들 대도시에 있지 이런 외진 곳에 오지는 않는다. 20대 30대를 미주한인 청소년 사역에 불태운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가정도 신경을 써야 해서 뭐 불태웠단 표현은 조금 과한 표현이란 생각도 들지만 무식하게 황야같은 한인교회에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청소년 사역에 뛰어든 것을 뒤로 돌아보면 그런 표현도 적절하단 생각도 든다. 지금 사는 곳 근처에 미국에서 태어나 자신이 미국인이라 생각하고 자라고 한인 여자와 결혼해 가정을 꾸리고 있는 친구 하나 있지만 그는 평생 돈만 벌면서 살아서 대화하면 가치관의 차이가 너무 난다는 것을 느낀다. 그 도 기독교인이긴 하지만 교회도 안나간지 오래 된 것 같고 세상의 먼지가 가득히 느껴져 대화를 하다보면 나의 참을성만 계속 자극하는 것을 느낀다. 대화의 장벽, 문화의 장벽, 나이의 장벽, 경험의 장벽, 가치관의 장벽… 장벽 투성이겠지만 사랑으로 감싸주지 못하겠느냐만 나이가 들면서 그런 것들을 넘어 주는 것이 더 귀찮아졌다. 항상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친구를 대하는 것이 부담이지 않겠는가. 스스로도 조심해야 겠지만 돼지에게는 진주를 던지지 말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더욱 실감이난다. 신나게 같이 모여 대화를 주고 받으며 좋은 시간을 보낸 것 같은데 나중에 들려오는 소리는 칼 같은 말로 등에 비수가 꽂혔던 것 같았다. 무슨 자랑도 아니고 수수하게 그냥 대화 했다고 생각했는데 가르치는 느낌을 받았는지 상당히 싫었던 모양이다. 수십년 어린 학생들만 대한 나로서는 또래 사람들과 대화할때 너무나 자연스럽게 선생님처럼 나온니 그냥 피하는게 더 편한 것 같다. 물론 과거에는 다들 무엇이라도 배우기에 갈급한 상태여서 가르치는 사람을 소중히 여겼을때가 있었지만 그런 시대는 끝난 것 같다. 시카고에 있을때도 또래 교인들이 모이고 장로님들과 목사님이 일찍 떠나면 소주잔이 나오고 그랬는데 난 술은 못한다. 그래서, 비록 초청의 제스처였지만 일부러 나도 일찍 모임에서 나왔다. 같이 놀아주고 마셔주는것이 힘드니 가깝게 지내기가 쉽지 않은 건 당연지사.

전도사로 가정을 가지고 생활을 할 수 없는 형편이어서 주중에 컴퓨터 관련 일을 같이 평행으로 해왔다. 컴퓨터 관련 일은 국민학교때부터 아르바이트로 했으니 그건 30년, 평행은 20여년… 중년에 들어서면서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았던 전쟁에서 돌아온 전사같이 만신창이가 된 느낌이다. 어느 목사가 나의 정체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다가오면 어떻게 시원히 답변해 줄 수 없다. 자신은 목사로서 정체성을 뚜렸히 습득했는지 몰라도 난 여러 목사들에게 받은 상처 투성이니 별로 설명해 주고 싶지도 않다. 그 들은 타인에게 또는 아내의 희생을 받으며 학교를 다니고 그랬겠지만 난 타인의 도움없이 아내와 가정을 위해 일하며 학교를 다녔고 차 개스 돈을 아끼기 위해 매 금요일 부터 주일까지는 교회 책상위에서 수년동안 밤을 지냈다. 난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교를 간 것이 아니라 단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기 위해 간 것 뿐. 처음엔 그것이 청소년 사역인줄 알고 어떻게 먹고 살아갈 것 인지는 오로지 하나님에게 맡기고 중고등부 전도사가 나의 평생직이라 생각하고 임했다. 그리고, 같이 일했던 전도사들이 목사가 되기 위해 중고등부 사역을 신학도때만 하는 디딤돌로 여기고 졸업후 몇 년 후에 그냥 청년 그 다음 어른 목회로 가는 것을 보고 나는 큰 실망에 빠졌고 나는 목사가 되지 않기로 결심했다. 수십년 이런 저런 사역자들을 만나며 늦게 깨닳은 것은 한인교회는 엄밀히 말하면 이민 1세들의 교회다. 거기엔 한인 2세들이 설 곳 도 없도 설령 있다한들 그냥 “아이들” 사역이 되어버린다. 이런 배경에서 한인들 중 자신들의 자식에게 한국어까지 제대로 가르치는 가정은 별로 없다. 다들 세속적 성공에 모든 것을 투자하고 있는데 아이들의 가치관이 보이지 않는 하나님 중심으로 형성이 된다는 것은 기대하기 힘든 현실이다.

이런식으로 한인 교계가 세대가 지나며 발전이 없는 것은 목사들이 목사직이 하나님의 부르심보단 그냥 직업이며 하나님이 아니라 스스로를 神聖不可侵한 영역으로 줄을 그어서 그런 것 같다. 인간이면 누가 비판을 좋아하겠느냐만, 그러나 실질적으로 개인적인 감정적으로 받아드리는 것보다 교계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드리면 더 건설적으로 발전이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든다. 교인들을 자기 편만들기 수법으로 신성모독으로 포장을 한 후 사탄 마귀를 몰아내는 것처럼 사람들을 몰아내는 쇼를 하는 치사스러운 목사는 이제 그만 보고 싶다. 교회란 이런 지도자들이 反響窒을 만들어 그 효과로 발전없이 침체되기 때문이다. 큰 마음 또는 사랑을 설교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그런 마음을 가지고 일대일로 직면하여 사람을 대하여 감명을 주었던 과거의 목사형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든 것일까? 그냥 反響窒 만들기에 집착한 지도자들이 너무 많다. 외부에서 오는 비판들은 하나님도 안믿는 사람들이니 들을 가치도 없다고 치자, 그러나, 내부적으로 들려오는 목소리까지 차단시키면 그냥 스스로 완강해 지는 수 밖에 없다. 일단 하나님의 말씀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수단으로 이용되기 시작해 버리면 회개란 타인에게 필요한 설교 제목으로 전락한다. 이런 모습은 교역자들의 생계를 책임져 주는 교단에서 더 많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목사는 목사끼리만 통하는 것들이 더 많으니 평생 교인탓을 하며 서로 잘못된 것들은 그냥 눈감아 주고 다독여 주면서 反響窒효과가 시너지효과와 더불어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니, 계속해서 기독교가 개독교로 전락하고 목사들이 먹사라 불리지 않나 생각된다. 물론 교회에서만 이런 것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만 거리를 두고 봐도 다른 단체에 비해 인력 미개발 지역처럼 느껴지는 곳이 교회이니 과거에 전쟁 후 아무것도 없었던 한국같은 상황에서야 교회가 사회를 인도하는 모습으로 보여졌던 것이었다. 아무튼, 나름 處士의정신으로 살기 시작한 것 같다. 士도 아닌 주제에 處士라 칭하는 것도 과분이라 생각되니 그냥 시골의 한줌의 土라 여겨 스스로 處土라 칭해야겠다. 歸原이라 할까.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면서 19세기 西勢東漸으로 인해 근본없어진 사람들의 문제에 대한 대응에 대한 생각이 더 확고해진 것 뿐이라 뿌리를 찾아가 접목해야 한다는 필요를 느끼는 것이다.

검도클럽에서 꾸준히 나오는 사람들과는 10여년 같이 연무를 이어오니 가족처럼 가까와 질 수 밖에 없다. 일주일에 두번 많았을 때는 세번씩 만나며 잠깐 잠깐 대화하며 서로 기분 나쁘게 할 일이 없이 같이 땀 흘리며 연무에 집중하니 그럴 수 밖에.

내가 오늘 죽으면 나의 장례식에 올 사람들은 수백명 수천명은 아니어도 멀리서도 비행기 값을 지불을 해서라도 올 친구들이 몇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으니 사실 나는 행복한 사람이다.

Spineless

This is why 38North is a reliable source on NK. They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are able to predict the next move fairly accurately. It’s sad that such in-depth analysis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come by in Korean language itself. This is probably due to the political polarization in South Korea that has been in the works for so many years now. It was incredulous to find most of the media outlets, spineless political leaders, and so-called “think”-tanks ganging up on North Korean escapees for sending leaflets to help reveal truth to people living in North Korea. They’ve been doing this for decades now, and all of sudden, it’s a problem in South Korea only because North Korea made it a problem at an another level. The leaflets flowing in from North to South are mere propaganda based on lies, of course. I’m not sure why the political leaders in South Korea aren’t seriously thinking about moving to North Korea as a place of new residence. The received wisdom and experience of the past seems to have been defenestrated. As the old idiom goes, Korean political scene has become even more myopic like a frog inside a very small well. Seeing how the public is easily swayed to believe in an administration that has practically done nothing except to make boasts over a natural disaster, the public wisdom is no better.

“If history serves as any indicator, Pyongyang will eventually shift from its anti-South Korea campaign to the US. North Korea’s Foreign Minister Ri Son Gwon already issued a statement on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Singapore Summit that described the diplomatic window of opportunity as nearly closed due to many of the same grievances it has with Seoul.[13] North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US on June 25 will be a good indicator of how soon the North will start priming its populace for an anti-US campaign.”

A quote from the article below

North Korea’s Anti-South Korea Campaign from 38North.

Apartment price in Seoul jumped 52% in last 3 years

2020-06-23

When Moon Jae-in took office, one of biggest promises was to lower the housing cost, but lo, behold, it has doubled during his presidency.

This is a classic example of impotent leadership. Many of his cabinet members, and including numerous leadership from his party have been proven guilty of owning multiple houses using different family members’ names, and by none other than those who had been outspoken about housing price reform.

President Moon had said that he’s confident about his administration reforming the housing price issue back in November of 2019
52% housing price jump compared to the last administration

China puts their last of the GPS satellites into orbit

2020-06-23

China now has their own GPS system.

“Lan Chung-chi “BeiDou system” spokesperson

“It will be the world’s most useful satellite-based GPS system. In all metrics, it performs at the best, world-class level,” says Lan Chung-chi.

US currently has it’s original GPS, with improvements, Russia has GLONASS, and Europe has Galileo system. The Chinese system is called BeiDou, and currently at BeiDou-3/Compass.

A recent study related to this: https://www.mdpi.com/2072-4292/12/11/1853/htm

Some news links:

착한소비 vs 착한사람

인간의 역사를 경제적인 것을 주로 보는 추세는 무신론적인 현대인의 사회에서 종교를 쉽게 대체할 수 있는 물질중심의 종교적 해석으로만 들린다. 미덕의 기준도 쉽게 이해되는 공리주의에서 멈추어져 있고 더 근본적인 질문은 아에 생각조차도 할 필요도 없게 만드는 너무나 간편한 해석으로 설명되있다. 착한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착함 이라는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이 착함의 기준 또한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인류 모두 공유하는 가치관이란 것을 찾게 된다. 그럼 인류 모두 공유하는 가치관은 어디서 발생되었는가? 진화 무신론적 발상으로는 카를 융의 해석으로는 어떤 세계의식이 있어 모든 사람이 비슷한 가치관을 가지게 된다고 정신분석학계에서는 이야기한다. 사실 힌두교의 우주적 아만(atman)의 종교적 개념에서 그리 멀지 않다. 여기에 현대식 진화론을 끼워넣은 설명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은 어떤 초 전형적인 가치관을 공유해 왔고 그것은 인간의 자의식과 인간사회를 가능케 했으며 이것이 인간과 원숭이를 갈라놓은 것이라 설명을 한다. 그러나, 천년 만년 원숭이들에게 도덕을 가르치면 무엇하겠는가? 원숭이는 원숭이 밖에 낳지를 못한다. 원숭이가 절대 사람을 낳지 않는다. 그냥 밑에 너무 쉽게 깔려있는 진화론의 근본적인 문제는 절대로 언급되지 않는다. 왜냐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과학과 개인경력을 쌓았기에 그것을 부인하기에는 有神論的인 위치를 취하여 하기 때문이다. 직설적으로 말한다면 바로 하나님의 인격에서 사람의 가치 기준과 어떤 것이 인간다운 것이지의 대한 답이 나온다. 그래서, 수만명의 정신 환자들을 치료한 현대 정신분석 융학자들도 성경이 인간 심리에 제일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아무튼, 희생의 기본은 하나님의 인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것이 착한소비를 가능케 하는 근거지인것이다.

외로움

현대사회의 재일 큰 고질병은 외로움이다. 미국 신학자 Francis Schaeffer도 현대인의 재일 큰 문제가 외로움이라 가르쳤고 스위스에 라브리 공동체를 만들어 누구라도 와서 사람들과 연결하고 생활할 수 있게 만들었다.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는 오로지 용감한 신앙만이 우리가 겪고 있는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라고 했었다. 혜민 스님은 타국의 복지시스템과 현대사회에서 나름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면서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라는 매우 당연하면서 중복적인 방향으로 가르키고 있다. 그렇다, 지금 인터넷으로 사람과 사람들끼리 매우 연결되어 있지만 마치 거대한 바다 위에서 목말라 죽어가고 있는 현대인들이다. 아이들이 사람들과 관계맺는 부분에도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어 깊이 있는 관계를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이 더 줄어가고 있다. 거기에다가 인공지능이 사람들을 대면하며 서비스를 해주고 지금 순간에는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집에서만 생활하고 있는 중이다. 더 고립된 생활에서 당연히 더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이란 문제가 더 확대되기는 당연한 것이다.

그렇게 많은 나라 중 미국이 코로나에 더 취악한 것을 보면 사람들이 얼마 만큼 사회의 대면하는 연결고리에 의존되어 왔나 생각할 수 있는 것 같다. 미국에서는 근처 가게에서 줄서고 기다리고 있으면 누구든 쉽게 말을 건내주고 받는 문화이다.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길거리에서도 누군가 쉽게 말을 건내면 마치 옆집 사람인 것 처럼 답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미국 문화다. 이러한 사회에서 코로나는 심지어 이런 간단한 사회적 교차까지 없애버리니 미국 사람들이 가만히 있지 않는 것인가 생각해 본다.

집에 와이프와 아이 셋과 근처에 어머니, 심지어는 여동생까지 어머니랑 있겠다고 와 있어서 항상 사람이 있고, IT에 종사하다 보니 오히려 일이 더 많아졌다, 그래서 외롭다란 생각을 별로 할 기회가 없다. 외롭다란 생각이 들 정도로 좀 한가한 시간을 보내 아직 읽지 못한 책들이라도 쉬지 않고 계속 읽고 싶다. 글쓰는 것은 그냥 생각나는데로 이렇게 라도 쓰는 것에 일단 만족이다.

https://youtu.be/2DdPykroV_M

치매와 연관된 것들

  1. Age (나이)
    Much more vulnerable after age of 65. The risk doubles every five years, and then 1/3 of getting it after age of 85. 65세 이후 더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그 이 후 5년 마다 증폭된다. 85세 이후는 걸릴 가능성이 33% 정도 된다.
  2. Family story (가족 사항)
    부모나 형제 자매중 치매가 있으면 확율이 높아진다.
  3. Genetics (유전)
    Only less than 1% of the cases are related to genes. 사실상 1%도 안되는 해당 사항이다.
  4. Other factors (다른 사항)
    1. Head injury (두부외상)
      머리는 항상 보호해야 한다.
    2. Heart-head connection (심장 건강)
      심장을 튼튼히 하기 위해 보통 때 운동을 꾸준히 해야 머리 건강에 좋다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출처: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

한국을 第一치매國이라고 한다. 한국 사람들이 치매가 재일 많다. 그 다음엔 일본이다. 홍창형 교수는 치매가 나이가 들면 모두 다 겪을 수 있는 것으로 사회가 자연히 받아드려야 하는 것이라 한다. 그렇다, 아직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어떤 장애가 있으면 사회에서 외면당하기 쉽운 사회가 한국사회이다. 노인복지천국이란 일본도 老치매환자들을 돌보느라 돈을 너무나 많이 쓰고 있어 이것을 충당하기 위해 모든 시민들이 세금을 더 내고 있다.

생각에는 그냥 개인적으로 머리의 신경 접합부들을 더 많들고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치매를 오래 지연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두뇌학자들이 이미 나이가 많이 들어도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은 어느 정도 유지가 되기 때문에 나이가 있어도 뇌를 쓰면 인지적 비축분(cognitive reserve)이 생겨 치매증상을 늦출 수 있다는 결과가 있다. 그럼 어느 정도써야 도움이 되는 수준인가? 그것은 마치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이 정신적으로 맞이한 정도의 수준이어야 한다. 즉 개인에게 어느 정도 닺기 힘든 수준이어야 하며 정신적으로도 힘들다란 느낌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전적 수준이다. 그것은 내가 쉽게 쥘 수 있는 목표보다 조금 더 먼곳에 있다는 것이다. 그냥 내가 간단하게 풀 수 있는 수준, 매일 30분 정도 한다고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 이 포인트를 잊어서는 않될 것 같다. 나에게 도전이 되고, 내가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수준인것이다. 그 수준이 되어야 두뇌에게 도움이 되는 수준인 것이다. 물론 중년이 넘으면 내가 무엇하러 이런 것을 이렇게 힘들어하며 배워가야하냐 하며 스스로 의욕을 꺾어 버리는 것을 많이 본다. 이런 흔한 정신이 한국사람들 사이에 많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치매에 많이 걸리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냥 수동적으로 쉽게 할 수 있는 TV 시청 정도로 배우는 것에 충족하고 사는 생활 습관이어서 더 많은 한국인들이 치매에 걸리지 않나 생각해 본다.

중년이 넘은 분들을 위해 다음을 추천해 본다: 새로운 언어 배우기, 내가 읽지 않은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책읽기, 음식 만들기를 시작해 보기, 코바느질 배워보기, 몸에 너무 많은 무리가 가지 않는 검도 같은 운동을 시작해 보기 등이다. 다 내가 해본 것이고 지금도 계속 이어나가는 것들이다. ㅎㅎ.

다른 요점들은 반복, 적용, 기타등등 보통 학습에 연관된 기본 상식이다.

코가 석자

힘들기로 잘 알려진 공부 분야에서 위촉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던 젊은 친구가 중국이 삼성을 못 따라간다고 자부심을 표했고 그것은 삼성이 외계인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물론 그 만큼 앞서 있다란 표현이겠지만 더 크게 보면 메모리 분야에서만 상당한 비율의 시장을 가지고 있지 비메모리 분야까지, 즉 인텔과 AMD가 만들어네는 CPU 같은 분야를 포함하면 비교 상대가 안 될 정도로 적은 규모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음식 시장에 비유한다면 마치 세계 김치 시장의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마치 모든 음식 시장에서 주름잡을 정도 된다고 착각하고 있는 현상과 같은 것이다. 중국과의 비교도 그렇다. 쉽게 결론부터 말하면 비교할 상대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2050년 정도면 인구 감소 때문에 한국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고 말하고 있고 반면에 중국은 인구 감소를 일부러 노력하고 있는데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이다. 수 백년, 아니 수천년 그래왔다. 일본하고도 비교해도 일본은 이미 토쿠가와 시대에 세계 4위에 드는 인구를 가진 도시가 있었고, 한국도 상당히 발달된 농업으로 인해 이미 G20에, 만악 그 때부터 있었다면, 16세기 부터 가입할 수 있는 나라였다. 그래서, 우리 부모 세대까지 부유한 한국을 경험했던 것이지 이로 부터는 그런 시대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인간 역사를 보면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대부분이 가난했었다. 그러나, 우리가 중산층 정도만 되도 과거의 역사에 비해 왕같이 사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볼때 가난이란 것은 모면하기 힘든 것이 되는 세계로 변화되는 것 같다. 한국인으로서 또는 미주 한인으로서 한국 드라마와 노래가 잘 팔린다고 삼성 제품이 잘 팔린다고 으슥그럴때가 아니다. 우리코가 석자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돌아가는 것을 보면 다음 세대에게 미안한 마음 뿐이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가 아니다

국가별 창업 실패 횟수를 보면 한국의 어떤 경제적인 면보다 문화및 사고적인 면을 보는 것 같다. 보통 사업에 한번 실패하면 가정의 모든 사람들이 다시는 사업을 하지 말라고 말린다. 물론 한戰이후 대기업 위주로 돌아갔던 경제 방침때문에도 그렇겠지만 수십년동안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보증을 서줘서나 아니면 빛을 져서 죽을때까지 고생만하다 간 사람들을 많이 봐와서 그런 것 아닐까? 이런 인식이 쉽게 바뀔 것 같지는 않다.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그러기 위해서는 경제 기본 지침와 방침들이 세워져야 한다. 그냥 돈 쓰라고 아니면 취직에 도움되라고 용돈 정도나 주고 있는 한국 정부와 서울 지차제 정부를 보면 콧 웃음이 나온다.